경제·금융

그룹측 “화의고수”/채권단 “수용거부”/「기아」 장기대결국면

◎정부 법정관리·정치권선 화의 팽팽/금융경색·연쇄부도 등 경제주름살 우려그동안 경제의 덜미를 잡아온 기아사태가 장기대결국면에 들어갔다. 기아그룹은 채권금융단에 법정관리최종시한인 6일 화의를 고수하겠다는 입장을 서면으로 공식통보했다. 이에대해 채권금융단은 지난달 29일 기아채권단대표자회의에서 결정한 법정관리 고수 입장과 함께 화의동의 및 정상화자금지원거부를 통보했다. 또 정부도 기아의 법정관리 지지 입장을 굽히지 않으며 채권단의 입장변화를 경계하고 있다. 이에따라 경제불안의 최대원인인 기아사태가 장기화되고 경기회복은 커녕 한국경제에 치유할 수 없는 상처가 남는 최악의 상황이 우려되고 있다. 한국경제는 지난 상반기부터 회복국면에 접어들 상황이었으나 기아사태로 인한 금융시장 경색, 이에 따른 기업들의 자금난 및 연쇄부도 등으로 발목이 잡혀 있는 상황이다. 「법정관리」가 아니고서는 기아자동차의 경영정상화가 어렵다는 채권단과 「화의」만이 기아가 선택할 수 있는 최선의 대안이라는 기아그룹의 팽팽한 대립이 좀처럼 풀릴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는 형국이다. 「화의상태에서는 채권보전이 안돼 추가 자금지원을 할 수 없으니 기아 스스로 알아서 버텨보라」는 정부 및 채권단과 「기존 수준의 자금지원만 있으면 화의로도 살아남을 수 있으니 도와달라」는 기아측의 주장이 평행선을 긋고 있는 실정이다. 재계 관계자는 정부채권단의 무책임한 정책추진 때문에 협력업체만 연쇄부도의 위기에 직면해 있고 금융시장의 불안감이 가중되면서 자칫 한국경제의 기본체력마저 뚝 떨어질 것을 우려했다. 한편 이회창 신한국당 총재, 김대중 국민회의 총재 등 정치권은 기아의 화의 적용을 지지하는 입장을 표명, 앞으로 적극적으로 중재에 나설 경우 실마리가 풀릴 가능성이 기대되고 있다.<이세정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