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21세기-뉴밀레니엄 D-2] 세계각국 Y2K 막바지 점검

Y2K에 대한 우려를 떨쳐버리고 새천년의 축배를 들 수 있게 된 것은 무엇보다 그동안 천문학적인 비용을 쏟아부었기 때문이다. 미국의 정보기술 연구회사인 가크너그룹에 따르면 세계각국이 Y2K문제 해결에 막판까지 지출해야 할 비용은 3,000~6,000억달러(약 350~700조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전문가들은 오히려 Y2K문제 자체보다는 이에 편승해 기승을 부릴 바이러스와 해킹이 적지 않은 혼란과 피해를 낳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주요국가들의 Y2K 대응상황을 점검해 본다. ◇미국= 지난 95년부터 「Y2K 대책 프로그램」을 진행해 왔다. 현재 군사·정보통신·금융·항공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기술적 문제가 해결된 상태다. 오히려 상점에서 식료품·의약품 등을 매점하는 움직임이 나타나는 등 소비자 불안심리가 더욱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와 관련, 클린턴 대통령은 『국민 생활에 직결되는 분야에서는 피해가 일어날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선언, 진화에 나섰다. 미국은 그러나 만일의 가능성에 대비해 31일 밤에 운항하는 국제선 비행기에 는 연료를 평상시보다 많이 싣게 하는 등 비상대책도 동시에 수립중이다. ◇유럽= Y2K 문제 있어서는 미국을 능가하는 대비가 됐다고 판단하고 있다. 독일의 월너 뮬러 경제장관은 이미 지난달 말 『컴퓨터를 사용하는 유럽 기업의 98%가 Y2K 대응을 끝냈다』고 발표했다. 실제로 유럽연합(EU)는 올해 초 금융·교통·에너지·정보통신·원전 등 기간설비 기업 대표들로 위원회를 구성, 두차례에 걸쳐 각국의 준비상황을 점검했다. 다만 EU에 속하지 않는 나라들의 불안감은 가시지 않고 있다. 유럽의회는 최근 『EU외의 국가들은 31일 밤 핵시설 운전을 일시 중단해 줄 것을 요구한다』는 선언문을 채택했다. ◇일본= 정부의 집중적인 지원으로 모든 분야에 준비가 끝난 상태다. 지방자치 단체별로도 최종 점검을 마쳤다. 오부치게이조(小淵惠三) 총리는 지난 3일부터 TV공익광고를 통해 『Y2K와 관련한 불안 요소가 전혀 없지만 조심을 기하기 위해서라도 모두 주의를 환기하자』고 호소했다. 일본 정부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 부처별로 모두 1만여명의 공무원과 10만여명의 군병력을 비상대기시키고 31일과 내년 1월 1일 이틀에 걸쳐 오부치 총리 등 정부 수뇌진이 총리관저에서 대책을 진두지휘키로 했다. ◇위험국가= Y2K사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나라는 러시아로 지목되고 있다. 극심한 재정난에 시달리고 있는 러시아는 컴퓨터 시스템 개선에는 별로 신경을 쓰지 못하고 있기 때문. 에너지 공급이 중단돼 난방·전기·수도·전화 등 공공서비스가 전면 중단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가장 큰 우려는 원전사고. 미국은 러시아와 공동으로 수차례 가상훈련을 마쳤지만 그래도 불안한 나머지 아예 모스크바에 핵전문가들을 파견시킬 계획이다. 이와함께 미 콜로라도 스프링스 북미우주항공사령부(NOAD)에서 사상 처음으로 공동불침번을 서기로 했다. 어느쪽에서든 핵미사일이 오발될 경우 공중폭파 등 비상조치를 취하기 위해서다. 중국도 불안하기는 마찬가지. 정부 당국조차 『비교적 완벽하게 대책을 수립했지만 워낙 인구가 많고 땅이 넓다보니 내륙지방의 상거래와 병원·교통분야에는 솔직히 자신이 없다』고 털어놓을 정도다. 전문가들은 이밖에도 아프리카·인도네시아·베네수엘라·파라과이 등이 상대적으로 위험성이 높다고 진단하고 있다. 백재현기자JHYUN@SED.CO.KR

관련기사



백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