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지수 1,000 돌파 "국내 법인의 힘”

자사주등 대규모 매수<BR>유통주식수 줄어들며 지수 상승랠리 이끌어

종합주가지수가 1,000포인트를 돌파하는 데는 국내 법인들의 몫이 컸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래에셋증권은 “전날 종합주가지수가 1,000을 재돌파했음에도 불구하고 유가증권시장의 거래대금은 2조5,000억원이 채 되지 않았다”며 “이는 거래대금 감소로 인해 지수 상승랠리가 제한될 것이라는 시각을 뒤집게 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그동안 종합지수가 1,000포인트를 넘을 때 평균 거래대금은 4조원에 육박했었다. 박경일 연구원은 “과거 같으면 지수 1,000대의 매물소화를 위해서는 3조원 후반대의 거래대금을 동반했어야 했다”며 “시장이 한층 가벼워졌다”고 말했다. 이처럼 시장이 가벼워지게 된 가장 큰 요인은 바로 국내 법인의 주식매수. 지난해 4월 이후 국내 법인은 유가증권시장에서만 총 5조4,000억원을 순매수했다. 매년 외국인의 유가증권시장 순매수 규모가 10조원선임을 감안할 때 상당한 금액이다. 박 연구원은 “경영권 방어 등의 차원에서 국내 법인이 자사주를 매입하면서 유통주식 수가 급감하게 됐고 유통주식 수가 줄면서 상대적으로 적은 거래대금만으로도 지수 1,000을 이끌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법인이 매수한 상당수 물량은 대부분 단기 투자성향이 강한 개인이 판 물량들”이라며 “법인은 매수 후 물량을 시장에 내놓은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유통주식 품귀현상을 부채질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99년 말 전체 시가총액의 31%에 달하던 개인 지분은 지난해 말 20%로 줄어드는 등 4년 연속 감소하고 있다. 반면 법인의 주식매수가 늘면서 유가증권 기업의 최대주주 비율은 2002년 40.19%이던 것이 ▦2003년 41.84% ▦2004년 42.77% ▦2005년 6월9일 현재 43.21%로 매년 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