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나홀로 약세장 탈출 위해서도 제조업 살려야

역동적인 세계시장의 흐름 속에 나홀로 약세를 면치 못하는 것은 제조업뿐만이 아니다. 글로벌 증시의 강세 속에서 유독 한국 증시는 꽁꽁 얼어붙은 상태다. 널뛰기 현상 속에서 오락가락하는 환율도 대규모 외자의 유출입과 맞물려 불안하기만 하다. 체감경기를 바로 나타내는 양대 시장인 증시와 외환시장의 불투명성 증가에 따라 기업들은 더욱 위축되는 악순환이 이어지는 형국이다.


봄을 기약하기 어려운 한국의 사정과 달리 글로벌 시장은 요동치고 있다. 당장 뉴욕증시 다우존스지수가 5년 만의 사상 최고치에 도달했다. 일본과 중국의 주식시장은 지난해 12월부터 올 1월 말까지 각각 18.5%, 22.1% 오른 반면 같은 기간 한국 코스닥지수 상승률은 1.13%에 불과하다. 전세계적으로 자금흐름이 채권 같은 안전자산에서 위험자산으로 이전하고 있는지 혹은 각국의 적극적인 부양에 힘입어 새로운 거품이 형성되고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 분분하지만 한국은 상승 대열에서 소외됐다는 점만큼은 분명한 사실이다.

관련기사



이해하기 어려운 대목이 또 있다. 여느 때 같으면 증시 상승재료로 작용했을 호재도 적지 않다는 점이 바로 그것이다. 중국계 주식매수자금이 국부펀드를 중심으로 3개월 사이에 1조8,000억원이 들어오고 환차익과 주가 및 부동산가격 상승을 노린 해외교포의 재산 유입이 사상 최대에 이른다고 한다. 시장 분위기가 약세에서 강세로 반전될 분위기는 곳곳에서 조성되고 있다는 얘기다.

문제는 대한민국 경제 스스로에 있다. 올 들어 미국계와 영국계 자금이 시장에서 빠져나간 가장 큰 원인이 원화 강세에 따른 한국 제조업의 약세 전망이라는 분석은 난국을 헤쳐나갈 답이 어디에 있는지를 명확하게 알려준다. 제조업체는 가격경쟁력을 뛰어넘을 수 있는 기술개발과 신시장 개척에 힘쓰고 정부는 적정 환율을 유지하는 데 전력을 기울인다면 우리 경제를 보는 시각과 전망도 변할 수 있다. 재정을 해칠 수 있는 경제 포퓰리즘에서 벗어나 제조업을 강화하는 것만이 떨어진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길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