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줄기세포에 조직접목, 뇌손상치료

연세대팀 연구결과, 네이처바이오텍 표지 채택국내 연구진이 신경줄기세포와 합성 고분자 화합물을 이용, 뇌성마비와 뇌졸중 등의 중증 뇌손상을 치료할 수 있는 획기적 기술을처음으로 개발했다. 연세대 의대 박국인 교수팀은 심한 뇌손상을 유발한 실험 쥐에 생분해성 고분자화합물과 신경줄기세포를 함께 이식하는 방법으로, 신경세포를 재생하는데 성공했다고 21일 밝혔다. 하버드 의대 연구진이 공동으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부 세포응용연구사업단(단장 서울대 문신용 교수)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이뤄졌으며, 연구결과는 이분야 저명 저널인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러지' 11월호(인터넷 10월15일자 공개)에 표지사진과 함께 실릴 예정이다. 고분자 화합물을 가지고 연골과 뼈등을 재생하는 연구는 활발히 이뤄지고 있지만 신경세포를 재생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논문에 따르면 박 교수는 심한 뇌손상 부위에 신경줄기세포만 이식할 경우, 세포가 자랄 수 있는 일정한 틀(기질)이 없고, 혈관 공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신경재생에 한계가 있다는 점에 착안해 신경줄기세포와 이 세포의 재생틀 역할을 할고분자화합물을 섞어 뇌 손상부위에 이식했다. 고분자화합물로는 수술 후 신체에 저절로 흡수돼 없어지는 봉합사 등의 원료로사용되는 생분해성 `PGA(Polyglycolic acid)' 화합물이 사용됐다. 이 결과, 뇌손상 부위에 이식된 고분자화합물은 매트릭스 역할을 하면서 쥐의뇌 신경세포 재생을 촉진시켰고, 재생된 신경세포와 숙주 신경세포들간 신경연결이활성화되는 효과를 확인했다고 연구진은 보고했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는 신경줄기세포와 고분자화합물을 함께 이용함으로써 뇌신경세포의 재생을 극대화시킨 데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고분자화합물에 재생효과를 촉진하는 단백질 혹은 유전자를 첨가하는 등의 방법으로 기술을 발전시킨다면 사람의 뇌손상 치료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길원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