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SBCK 분식회계 파장]IT 10개社도 연루… 관리감독 구멍

코스닥에 등록된 10개 IT(정보기술)기업이 소프트뱅크씨케이콥(SBCK)과 수십 차례에 걸쳐 300억원이 넘는 가공거래를 하면서 분식회계를 했다는 검찰 발표로 코스닥 시장에 파문이 일고 있다. 특히 최근 이오정보통신이 코스닥 등록심사 통과를 위해 분식회계를 한 사실이 적발된 직후 IT기업의 허위매출에 의한 실적 부풀리기가 확인된 상태에서 이번 SBCK사태까지 발생, 자칫 시장 전반으로 침체분위기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대해 시장 관계자들은 회계법인 제재 등 재발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가공매출로 실적 부풀려=SBCK와 가공매출을 한 혐의를 받고 있는 코스닥기업은 10개로 이들은 24차례에 걸쳐 325억원의 허위거래를 했다. 네트워크 통합업체인 I사는 지난해 7월부터 9월까지 여섯 차례에 걸쳐 48억원의 가공매출을 일으켰다. 이 회사의 지난해 9월말까지 총 매출액은 57억원으로 가공매출을 제외한 실제 매출은 9억원에 불과했다. H사도 지난해 7월 SBCK에 23억원의 물건을 납품한 것처럼 허위 매출세금계산서를 끊는 등 두 달 동안 다섯 차례에 걸쳐 총 96억원의 가공매출을 일으켰다. H사의 지난해 7월부터 9월까지 매출은 166억원으로 가공매출이 절반을 넘었다. 또 다른 I사는 9억원, 28억원 등 두 차례에 걸쳐 37억원을, D사는 36억원, 또 다른 D사는 13억원 등 10개의 코스닥 IT기업이 허위매출 세금계산서를 작성하는 방법으로 실적을 부풀린 것으로 조사됐다. ◇회계법인 등 제재강화 필요=관련기업에 대한 조사가 시급하다는 지적에 대해 코스닥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검찰이 수사한 사안인 만큼 재판결과를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코스닥위원회 관계자는 “해당 회사 하나하나 확인하지는 않았지만 일부 기업은 가공매출 사실을 시인하고 있다”며 “재판 결과에 따라 거래정지 후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등의 절차를 밟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 관계자도 “혐의 기업에 대한 시장의 의혹을 풀어야 하지만 검찰이 조사한 사안에 대해선 통보가 오기 전까지 조사에 나설 수 없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회계법인ㆍ코스닥위원회ㆍ금융감독원 등 관리감독 기능에 구멍이 뚫렸다며 대책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관리감독 기능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 사실로 드러났다“며 “회계법인에 대한 제재수위를 강화하고 돈을 빼 돌린 대주주 등에 대한 조사를 강화하는 등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우승호기자 derrida@sed.co.kr>

관련기사



우승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