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판매점은 '혼란' 소비자는 '실망'

매장 약관적용 싸고 어수선…문의 폭주 불구 구매는 거의 없어

“18개월 이상이면 무조건 조회부터 해야 하는 거야?” 27일 테크노마트, 용산 전자상가 등에서는 매장 직원들이 새로 발표된 보조금 약관을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를 놓고 의논하느라 어수선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대부분의 매장이 낮 12시께나 판매단가표를 받아 본데다 아직 본사나 대리점 차원에서 새로운 마케팅 정책이 하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용산 전자상가의 한 직원은 “지금까지는 대리점에서 받는 수수료에서 보조금을 지급해왔기 때문에 당분간은 합법적인 보조금 외에는 추가로 지급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판매 수수료도 보조금 시행을 맞아 크게 줄어들었기 때문에 보조금을 지급할 여유가 없기 때문이다. 특히 이통사들이 수시로 보조금 약관을 바꿀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매장에서는 문의만 폭주할 뿐 실제 휴대폰 구매가 이뤄지는 경우는 별로 없었다. 테크노마트의 한 직원은 “이통사의 보조금 정책이 바뀔 가능성이 높아 고객들에게 어떻게 설명해줘야 할지 난감하다”고 전했다. 종로의 한 이동통신사의 대리점에는 번호표를 받아 들고 상담하려는 고객들로 북적거렸다. 하지만 이들 또한 그저 문의만 한 후 발길을 돌리는 경우가 많았다. 한 고객은 “가입한 지가 5년이 넘었고, 통화 요금도 적지 않았는데 생각보다 보조금이 적어 실망”이라며 “좀 더 지켜본 후 구매를 결정해야겠다”고 말했다. 보조금 규모가 그리 크지 않은 탓에 앞으로 불법 보조금이 다시 고개를 들 것이라는 기대도 높았다. 실제로 일부 대리점에서는 그저 휴대폰을 바꾸는 경우보다는 번호이동으로 휴대폰을 살 때 받을 수 있는 보조금 규모가 10만원 가량 더 높았다. 이동통신사들은 “첫날의 혼란은 영업조직과 대리점간의 소통이 원할 하지 못해서 비롯된 것”이라며 “본사와 대리점간의 협의가 끝나면 시장이 안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