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긴급진단 에너지 전쟁] <4편> 민간기업 목소리

"당장 필요한 기술 인력 해외영입외엔 대안없어" <br>병역특례제 적용 확대등 장기적 육성책 세워야

해외에너지 개발에 뛰어든 민간기업들의 최대 고민 중 하나는 자원개발 인력확보이다. 특히 오일메이저 기업의 들러리에서 벗어나 해외 유전ㆍ가스전의 탐사ㆍ개발 운영권자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기술력과 현지 사정에 정통한 인력을 확보해야만 한다. 2010년까지 해외유전 5곳을 개발 정제능력의 10%를 자체 개발한 원유로 공급하겠다는 목표를 세운 GS칼텍스는 전문인력 확보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GS칼텍스는 우선 주요 자원보유국의 지질자료 및 지구물리 자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를 구축하고 이를 해석할 수 있는 지구물리해석 전문가를 지속적으로 충원하고, 유전개발 관련학과 졸업생 들을 채용 및 양성할 계획이다. 또한, 내부 임직원들에게 외국어 및 협상능력 제고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국내 에너지/자원 전문기관들과 기술적인 협력을 활성화해 ▦신규사업 발굴분야 ▦참여사업 운영분야 ▦기술지원 분야 등 3부분으로 특화된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SK㈜는 카스피해ㆍ남미 등 핵심전략 지역 전문가 양성에 힘쓰고 있다. 해외유전개발 사업이 자원보유국의 입장에서는 국가개발 사업인만큼 현지 사정에 정통한 현지 인력이 필수적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실제로 최근 SK㈜는 러시아 및 카스피해 유전개발 사업에 경험이 있는 고려인 3세 허단야(러시아이름은 타니야나)씨를 석유개발사업부에 채용했다. 허 씨는 SK㈜가 전략지역으로 삼고 있는 카스피해 연안 석유개발 사업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SK㈜는 현지인력 채용외에 내부 자원인력 개발 양성을 위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갖추고 있다. 석유공학ㆍ지구물리ㆍ지질학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싱가포르ㆍ미국 등으로 단기 연수를 보내는 한편, 기술 인력 양성을 위해 업무제휴 관계가 있는 헌트오일ㆍ데본 등 석유개발 기업에 파견 교육을 보내고 있다. SK㈜ 관계자는 “당장 필요한 인력은 어쩔 수 없이 해외에서 영입할 수 밖에 없다”며 “장기적으로 볼 때 자원개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국가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민간기업들이 자원개발 인력 확충을 위해 ‘연구소 취업’ 에만 한정돼있는 석사급 이상 전문인력들에 대한 병역특례제도(대체복무제도)가 확대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현재 지질ㆍ지구물리ㆍ석유공학 등 전문분야 기술인력의 병역특례제도는 석사 이상 전문요원의 경우 근무분야를 연구소를 지정하고 있어 정작 필요한 현업에 이들이 필요한 자원개발 기업의 경우 병역특례제도가 ‘무용지물’이나 다름없는 상황이다. SK㈜ 관계자는 “석유개발을 포함한 해외자원개발사업은 전문적인 지질ㆍ지구물리 및 석유공학 기술이 필요하며 이 분야 전문성에 따라 탐사작업의 성공여부가 결정된다”며 “기술인력양성이 해외에너지 확보에 아주 중요한데도 병역특례 적용을 못 받고 있어 안타깝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