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현대차 "MOU 체결 원천무효화 해야"

민·형사상 조치 즉각 착수<br>MOU 무효 소송도 검토<br>현대그룹 자격 박탈도 주장


현대그룹과 외환은행 간 매각 양해각서(MOU) 체결이 채권단 내부의 강한 반발에 부딪힌 가운데 현대차그룹은 독단적으로 MOU를 체결한 외환은행에 법적 책임을 묻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또 인수자금 조달 의혹 해소에 의지가 없는 현대그룹에 대해서는 "우선협상 대상자 자격을 박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MOU를 체결한 현대그룹은 "더 이상 근거 없는 소문이나 의혹으로 시장 질서를 혼란시키는 일은 그만둬야 할 것"이라며 다소 느긋한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채권단 내부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만큼 양측의 공방은 앞으로도 상당 기간 계속될 것으로 관측된다. 현대자동차그룹은 29일 현대그룹과 외환은행 간 매각 MOU 체결에 대한 유재한 정책금융공사 사장의 기자회견 후 "외환은행이 다른 채권단 주주들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은 상태에서 독단적으로 MOU를 체결한 것이 분명해졌다"며 "외환은행에 대해서는 응분의 법적 책임을 묻는 민ㆍ형사상 조치를 즉각 착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이날 체결된 MOU 무효소송 제기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현대차그룹은 '현대건설 매각과 관련한 현대자동차그룹의 입장'이라는 자료를 통해 "현대그룹이 채권단의 정당한 행위에 대해서도 소송 등의 위협으로 공적 입찰 절차를 우롱하고 농단하는 작금의 사태를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며 공세 수위를 높였다. 현대차그룹은 이어 "현대그룹이 자료제출을 거부하고 나티시스은행이 은폐와 묵비로 일관하는 것은 문제된 1조2,000억원의 자금에 대해 그간 국회와 언론에서 제기된 의혹이 진실임을 방증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현대차그룹은 특히 "현대그룹이 더 이상 자료제출을 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확정적으로 밝히고 MOU 원안고수 입장을 고집하고 있다면 이는 더 이상 논란의 여지 없이 의혹이 사실일 수밖에 없는 것"이라며 "자금에 관한 의혹이 전혀 해소되지 않은 이상 마땅히 현대그룹 컨소시엄의 우선협상 대상자 지위는 박탈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MOU를 체결한 현대그룹은 외환은행 외의 다른 채권단들이 MOU 체결에 반발하는 데 대해 내심 불쾌해 하면서도 채권단들을 자극하지는 않았다. 현대그룹의 한 관계자는 "다른 채권단들의 반발에 대해서는 특별히 코멘트할 것이 없다"며 "우선협상 대상자로서 법과 규정에 따라 채권단과 맺은 MOU이기 때문에 남은 절차가 순조롭게 잘 진행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현대그룹은 또 현대차그룹에 대해 "MOU를 체결한 만큼 현대차그룹은 이에 승복하고 더 이상 근거 없는 소문이나 의혹으로 시장 질서를 혼란시키는 일이나 상대방에 대한 명예훼손 발언 등을 그만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업계 일각에서는 MOU 체결을 놓고 채권단에서도 갈등이 빚어지고 있는 만큼 현대그룹과 현대차그룹 간 신경전은 계속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정책금융공사 등이 MOU를 인정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현대차그룹이 공세를 포기할 이유가 없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