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실적 보증방식 도입 네트워크론 활성화

신보 이달중 시행 방침…지방銀 등도 확대 계획

신용보증기금은 네트워크론을 활성화하기 위해 실적 보증 방식을 도입하기로 했다. 신보는 또 네트워크론 취급 금융기관을 지방은행 등 전 금융기관으로 이른 시일 안에 확대할 방침이다. 24일 신보는 네트워크론을 활성화하기 위해 발주서 보증 방식에다 실적 보증 방식을 병행하기로 하고 이달 중 새로운 제도를 실시할 방침이다. 지금도 일부 실적 보증 방식이 병행되고 있지만 주로 대기업의 주문서(발주서)를 기초로 네트워크론에 대한 보증이 이뤄지고 있다. 실적 보증 방식은 중소기업이 과거의 대기업 납품실적을 기준으로 대출자금 보증을 받는 것이다. 신보는 우수 하청업체에 대해 최고 보증한도를 30억원에서 100억원까지 확대해 올해 6,000억원의 네트워크론 보증할 계획이다. 네트워크론은 중소기업이 대기업으로부터 받은 발주서 또는 발주실적을 담보로 신용보증기금 또는 기술신용보증기금이 보증을 하고 은행이 대출해주는 금융상품이다. 이 상품은 지난해 8월 기업은행을 통해 처음 시작됐으며 현재 국민ㆍ외환ㆍ대구은행 등 7개 금융기관이 신보와 보증 지원 협약을 맺고 있다. 업계에서는 신보가 실적 보증 방식으로 보증지원을 확대함에 따라 네트워크론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취급 금융기관도 시중은행에서 지방은행 등 전 금융권으로 점차 확대될 것으로 보여 네트워크론의 혜택을 받는 중소기업들이 늘어날 전망이다. 한편 기술신용보증기금은 지난해 말 기업ㆍ외환ㆍ국민ㆍ신한ㆍ하나ㆍ대구은행과 네트워크론 보증지원 협약을 체결했으며 최근 부산은행과도 지원협약을 체결했다. 현재 기보는 발주서 보증 방식과 실적 보증 방식을 병행하고 있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