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8월 3일] 일자리 늘리기로 상생 강화하는 대기업

대기업들이 당초 계획보다 하반기 신규채용을 크게 늘리기로 하는 등 상생과 사회적 책임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고용확대는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대기업의 사회적 역할 가운데 핵심적인 부분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삼성그룹은 대졸ㆍ경력직을 올해 초 목표보다 3,000여명 늘린 2만2,000명 채용하기로 했고 지난 상반기 1만여명을 뽑은 LG그룹은 하반기에 5,000여명을 추가 선발할 예정이다. 이를 포함해 주요 5대 그룹의 경우 하반기에 1만여명을 더 채용하기로 함으로써 심각한 청년 일자리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된다.


대기업들이 이처럼 고용확대에 적극 나섬에 따라 최대 현안인 청년실업난 완화에 크게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양극화 심화에 따른 사회적 불만을 진정시키는 데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정부를 중심으로 '대기업 때리기'로 비쳐질 정도로 상생요구가 거세지게 된 것은 경제회복의 과실이 일부 대기업에 편중되고 있다는 인식에서 비롯되고 있다. 기업이 이익을 많이 낸 것 자체를 문제 삼는 것은 시장경제 원칙에 어긋나는 게 사실이지만 대기업들로서는 이 같은 분위기에 상당한 부담을 느끼지 않을 수 없는 것이 현실이기도 하다.

관련기사



특히 삼성그룹이 사상 최대인 26조원대의 투자를 진행하고 있고 LG그룹도 지난해보다 투자 규모를 25% 늘리는 등 주요 그룹들이 대규모 투자를 통해 나름대로 일자리 창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노력이 제대로 평가 받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없지 않다.

경제사회 전반에 심화되고 있는 양극화 현상을 대기업 책임으로 돌리는 것은 문제가 있다. 그러나 지금처럼 모든 부문에서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는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사상 최대의 이익을 올리고 있는 대기업들에 대해 상생 요구가 높아지는 것은 불가피한 사회적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이런 면에서 대기업들은 막대한 이익에 안주하기보다는 적극적인 투자와 고용확대를 통한 공격경영에 나서는 방안을 검토하는 계기로 삼는 것도 방법이 될 것이다. 삼성ㆍLG 등을 중심으로 하반기 신규 채용을 크게 늘리기로 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이뤄진 경영전략의 변화로 해석된다. 대기업들의 이 같은 상생노력에 대한 정당한 평가와 함께 자율적인 상생풍토가 조성되도록 유도해나가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