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상반기 노인일자리 11만8,000개 생겨나

노인 22만명 참여, 의료비 절감 등 효과

올 상반기 노인들을 위한 일자리가 11만8,000개 늘어나 직업 활동에 참여하는 노인들이 22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보건복지부는 올들어 6월말 현재 공공부문에서 10만개, 민간부문에서 1만8,000개 등 11만8,000개의 노인일자리가 생겨나 모두 21만7,922명의 노인이 일하고 있다고 8일 밝혔다.

월 20만원 이상 7개월 이상 받는 일자리 기준으로 여성의 참여율이 63.5%로 남성에 비해 크게 높았다.


연령별로는 70~74세가 8만442명(36.9%)으로 가장 많고 65~69세 27.7%, 75~79세 21.9%, 60~64세 6.8% 순이었다. 특히 90세 이상 노인도 206명이나 참여해 눈길을 끌었다.

관련기사



신설된 노인 일자리 중에는 저개발국가 기증을 위해 세관에 반입된 압류물품의 위조상표를 제거하는 사업이나 아동안전보호, 문화재해설 및 보호, 다문화가정 지원, 노-노케어(건강한 노인이 거동이 불편한 노인을 돌보는 일), 친환경 음식업, 실버 바리스타(커피 제조 전문가) 양성 등이 노인들에 관심이 높았다.

복지부는 최근 편의점의 시니어스태프, 문화재 발굴 등 노인이 잘할 수 있는 사업아이템을 개발하는데 주력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의 조사결과 일자리를 갖게 된 노인들은 유급노동, 사교 및 봉사활동, 가사 활동 등에 보다 많은 시간을 할애하며 적극적인 생활패턴으로 변화됐으며 의료비 절감, 빈곤율 감소 효과도 거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는 하반기중 노인들이 필요로 하는 일자리가 제공될 수 있도록 정보교환을 활성화해나가기로 하고 교육수준이 높고 경험이 많은 은퇴자들이 온오프라인에서 일자리 정보를 알선해주는 `노인일자리 서포터스'를 구성해 운영할 예정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앞으로 사회적 유용성이 높은 일자리 사업을 선정해 지원해나가는 한편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자생해나갈 수 있는 노인일자리를 개발해나갈 계획"이라며 "`1지역 1특화' 일자리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