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GM-도요타 "하이브리드車 기술 제휴"

왜고너, 이달 日방문 협력방안 논의 예정<BR>도요타도 “美 통상압력 거세질라” 적극적<BR>경영 악화 GM 부활 계기될까 관심 모아


세계 1ㆍ2위 자동차 업체인 미국의 제너럴모터스(GM)와 일본의 도요타자동차가 차세대 하이브리드 차량 기술제휴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정크본드 등급으로 추락한 GM이 부활의 단초를 마련할 수 있을 지 주목된다. 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GM과 도요타가 휘발유와 전기배터리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기술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있으며, 향후 구체적인 개발 내용과 일정을 확정하기 위해 양사 고위 임원간 접촉도 활발해질 것이라고 전했다. 실제 릭 왜고너 GM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도요타 본사가 있는 일본 아이치(愛知)현에서 개최되는 ‘2005 세계 엑스포’ 참석차 이달 중순 일본을 방문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서 도요타자동차와 하이브리드 기술 제휴에 대한 심도 있는 협의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 일본의 니혼게이자이신문도 왜고너 회장이 오는 14일 조후지오(張富士夫) 도요타자동차 사장과 회담할 예정이라고 밝혀 양사 CEO간 하이브리드 기술협력 방안이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앞서 오쿠다히로시(奧田碩) 도요타 회장은 “실적부진에 허덕이고 있는 미국 디트로이트 자동차회사들의 숨통을 열어줄 필요가 있다”며 “도요타는 미국 경쟁회사들과 기술제휴를 통한 협력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GM과 도요타는 1980년대 초 공동생산 라인을 구축한 적이 있고, 1999년에는 대체연료 차량 개발을 위한 5년 장기 프로젝트에 합의하는 등 협력관계를 이어오고 있다. 이처럼 도요타가 경쟁사인 GM과의 기술제휴 방안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은 GM 등 미국 자동차 업계의 경영악화가 지속될 경우 미국 산업계와 의회의 반발이 한층 거세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사전에 역풍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국제 신용평가기관인 스탠더드 앤 푸어스(S&P)가 GM의 회사채를 투자부적격인 정크등급으로 끌어내린데다, 미 의회에서 일본의 불공정한 환율정책을 이유로 자동차 산업에 대한 통상압력을 강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에 대한 여론 무마용 성격이 짙다는 시각이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