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서울 지하철 누수 크게 늘어

1~4호선 올 454건…누전위험 심각서울 지하철의 상당수 선로에 물이 흘러 누전위험성이 상존하고 있고 콘크리트 구조물 벽면 수백군데에 누수로 인한 균열이 생기는 등 역사 내 누수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가 18일 국회 건설교통위 소속 한나라당 이해봉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하철 공사 산하 1∼4호선의 경우 올들어 지난달까지 누수 발생건수는 무려57개 역사 454건이나 됐다. 이는 ▦98년 203건 ▦99년 157건 ▦2000년 194건 ▦지난해 137건에 비해 크게 늘어난 것이다. 호선 별로는 2호선이 17개 역사 190건으로 가장 많았고 ▦3호선 21개 역사 127건 ▦4호선 15개 역사 123건 ▦1호선 4개 역사 14건 등의 순이었다. 특히 2호선 방배-사당 구간의 경우 올 들어서만 누수가 60건이나 생겼으며 2호선 이대- 아현 구간 38건, 4호선 신용산-이촌 구간 38건, 4호선 길음-성신여대 구간29건 등 일부 역사의 경우 수십 차례에 걸쳐 누수가 생기는 등 심각한 상태였다. 도시철도공사 산하 5∼8호선 역사도 98년부터 올 상반기까지 최근 5년간 무려 4천118건의 누수가 발생했으며 이 중 16.7%인 667건은 여전히 보수가 되지 않은 상태였다. 올 상반기의 경우 예년보다 다소 줄기는 했으나 여전히 293건이나 됐으며 호선별로는 6호선 응암-봉화산 구간(연장 26.8㎞)이 123건으로 가장 많았고 ▦7호선 장암-온수 구간(27.8㎞) 121건 ▦8호선 암사-가락시장 구간(7.35㎞) 34건 ▦5호선 여의나루- 강동 구간(3.59㎞) 15건 등의 순이었다. 특히 5호선 방화-마천 구간(연장 54.7㎞)과 8호선 암사-모란기지 구간(20.9㎞),7호선 장암-건대입구(19.4㎞) 등 일부 구간의 경우 계속되는 보수에도 불구, 해마다 누수가 상습으로 발생했다. 민동기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