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中企 환경관리 '낙제점'

43% 전담인력도 없어…경쟁력 걸림돌

선진국들의 환경규제가 날로 강화되는 가운데 국내 중소기업들의 환경 관리능력은 아주 취약해 국제경쟁력이 더욱 떨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23일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회장 김용구)에 따르면 474개 중소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005년 중소제조업의 환경애로 실태’를 조사한 결과 3.6%의 업체만이 환경관리 전담조직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더욱이 환경관리 전담조직은커녕 담당인력조차 없는 업체도 43.4%에 달해 환경문제에 대한 대응 능력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적인 환경 규제에 대한 중소기업들의 인식도 아주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한 교토의정서가 올 2월 발효됐지만 그 내용을 아는 업체는 19.6%에 그쳤다. 교토의정서에 규정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에너지절감 노력을 펼치는 업체도 16.9%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내 환경규제에 대한 중소기업들의 대응능력도 미흡한 수준이다. 조사대상 업체 가운데 42%는 “환경규제 내용을 지키기 어렵다”며 “보완 조치가 필요하다”고 응답했고, “기업활동에 지장을 초래하기 때문에 완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27.0%에 달했다. 중소기업들은 환경경영에서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환경오염방지시설의 설치 및 운영에 따른 자금 부담’(40.8%)을 꼽았고, ‘환경 관련 법령에 의한 각종 승인, 신고 등의 의무 과다’(26.5%) 등에 대한 불만도 높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