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8월 6일] 중동 사태 경제적 손실 최소화해야

리비아와의 외교적 마찰에 이어 미국의 이란제재 동참 요구로 중동과의 외교관계가 위기를 맞고 있다. 문제는 중동 지역이 한국의 '달러박스'라고 할 정도로 건설을 비롯한 경제적 이해관계가 커 자칫 막대한 피해를 입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특히 이란제재 동참의 경우 그야말로 진퇴양난이다. 북핵 문제 당사자로서 미국의 이란제재 동참 요구를 거절할 명분이 없고 그렇다고 수용하면 수출과 건설수주 등이 타격을 받게 될 우려가 크다.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에서 유연한 접근이 요구된다.


이란과 리비아는 우리나라와 40년 가까이 협력관계를 유지해오고 있을 뿐 아니라 경제교류도 활발하다. 지난해 이란과의 교역 규모는 97억달러를 웃돌고 올 상반기 수출은 지난해보다 60% 이상 급신장할 정도로 유망 수출시장이다. 국내 건설업체가 현재 진행 중인 공사도 16억달러에 이르고 있다. 리비아의 경우 아프리카 지역 4위의 수출대상국이고 현재 국내 건설업체가 진행 중인 건설 프로젝트는 90억달러가 넘는다. 양국과의 관계에 문제가 생기면 교역은 물론 막대한 규모의 건설사업이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다.

관련기사



문제는 현재로서는 뾰족한 대처 방안이 없다는 점이다. 이란이 서울에 멜라트은행 지점을 개설한 것은 한국과의 관계를 중시하고 있다는 증거다. 미국의 요구대로 제재에 동참할 경우 이란 측의 강력한 반발이 예상돼 현지에 진출한 국내기업의 수주활동과 대금결제 등이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이란은 지난 2005년 우리나라가 국제원자력기구의 이란 핵 규탄결의안에 찬성하자 한국제품 수입금지 조치를 취한 전력도 있다.

그렇다고 손 놓고 있을 수만은 없다. 두 나라와의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국제사회와 보조를 맞출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이란제제는 불가피해 보인다. 북한 핵에 대해 강력한 제재를 바라면서 이란 핵제재에 불참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을뿐더러 미국과의 관계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국제적 흐름에 동참하되 양국 간 기존 경제협력사업은 협의를 추진해볼 수 있을 것이다. 리비아가 '10억달러의 무상공사'를 요구하고 나선 것은 협상의 여지가 있음을 내비치는 제스처일 가능성도 있다. 중동 두 나라와의 외교적 마찰에 따른 경제적 피해를 줄이기 위한 다각도의 노력이 절실하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