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靑 "헌법만큼 바꾸기 힘든 부동산제도 만들 것"

김병준 정책실장 "고가주택 보유과세 강화…정책 확실성 높이도록 영속적 제도 준비중"

김병준(金秉準) 청와대 정책실장은 3일 부동산 대책과 관련, "헌법을 바꾸는 정도로 힘을 들이지 않으면 바뀌지 않을 제도를 만들어 정책의 확실성을 높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참여정부의 부동산정책이 가볍게 여겨지는 현상이 있다"고 지적한 뒤 "'참여정부가 끝나면 옛날로 돌아갈 것이다. 2년반만 버티자'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계속 부동산 투기를 하고 있다"며 "이번에 내놓는 정책은 쉽게 바뀌지 못하도록 할 것이며 이번만큼은 그 이해관계와 잘못된 신념을 넘어서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실장은 또 부동산 투기이익 환수와 관련, "투기이익의 직접적인 부문도 환수하지만, 고가주택에 대한 보유과세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실장은 부동산 정책의 확실성을 위해 "제도를 만들면 그 제도를 유지시켜야만 이익, 혜택이 돌아오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제도를 만들 방침"이라며 "그렇게 되면 제도는 앞으로 못바꾸게 돼 있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이어 "투기 이익환수 등 각종 대책들이 각자에게 지속적으로 유리하다는 생각이 들도록 이해관계를 제도에 반영해서 묶는 방향으로 검토중이며, 단순히 제도만을 위한 제도가 아니라 제도가 영속적으로 유지되도록 디자인하고 있다"며 "강력하고 포괄적이며 무너지지 않는 제도를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실장은 정책 수단과 관련, "개발이익환수나 거래투명화는 법으로 제도화해야 하는 사항이 있을 수 있는데, 새로운 법을 만드는 방식이 될 수도 있고, 아니면 법을 개정할 수도 있다"며 " 올 정기국회때 안을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실장은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제시한 ▲거래투명화 ▲투기초과이익 환수 ▲공공부문 역할 강화 등 부동산 정책 3대 원칙과 관련, "수요억제책과 공급대책을 같이 쓰겠다는 것으로, 투기이익을 환수하고, 거래를 투명화하겠다는 것은 투기억제를 강화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공공부문 역할 확대'와 관련, 김 실장은 "공급 부문에서 공공부문의 역할을 강화하겠다는 의미로 전국적으로 다하는게 아니라 특정지역을 중심으로 하는데 공공부문이 어떤 역할을 하느냐는 부분을 연구중"이라며 "공공부문은 계획만 하고 시행은 맡기는 방법, 임대를 하는 방법 등 여러가지 방법이 있을텐데 구체적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jahn kbeomh (서울=연합뉴스) 성기홍 김재현 김범현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