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도 인력난

광동성등 200만명 부족…기업 '구인난' 심화 될듯

인구대국 중국의 인력난이 점차 심각해지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3일(현지시간) 중국경제가 노동력 부족이라는 예기치 못한 문제에 직면했으며, 이에 따라 노동자들의 협상력이 강화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중국 수출산업의 심장부라 할 광동성과 푸젠성 지역에서는 현재 총 200만명의 인력이 부족한 상태다. 이 같은 노동력 부족은 지난 20여년간 시행된 엄격한 산아제한 정책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기업들의 인력난이 가중되면서 임금을 더 많이 주는 곳으로 직장을 옮기는 노동자들도 늘고 있다. 특히 공장에서 선호하는 농촌 출신 젊은 이주노동자의 경우 예전과 달리 임금이나 근로조건에 대한 발언권이 한층 높아졌다. 이를 반영해 각 지방정부들은 경쟁적으로 최저임금을 인상하고 있다. 지난달 초 센젠시는 노동자 최저임금을 월 74달러에서 83달러로 올렸다. 시카고대학의 달리 양 교수는 “중국의 노동인구는 향후 15년간 감소세를 이어갈 것”이라며 “이에 따라 중국 노동자의 임금수준 및 노동환경이 계속 개선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노동력 부족 현상은 이제 시작일 뿐이며 임금인상 압력으로 작용해 저임금 생산기지로서 중국의 위치를 위태롭게 할 것으로 분석했다. UBS의 조나단 앤더슨 이코노미스트는 “더 이상 중국이 값싼 노동력을 바탕으로 외국 투자자본을 끌어들이긴 어려울 것”이라며 “앞으로는 베트남, 인도, 캄보디아 등이 중국의 자리를 대신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또 중국의 인력난이 가중될 경우 중국산 제품가격 인상으로 이어져 세계적인 물가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