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누진세 이득 본 한전, 직원 단체 외유성 해외연수 논란

전기요금 누진세로 인한 요금 폭탄 우려 때문에 서민들은 에어컨조차 쉽게 틀지 못하는 반면에, 누진세로 이득을 보고 있는 한국전력 직원들이 단체로 외유성 해외연수를 떠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다./ 출처=채널A ‘신문이야기 돌직구쇼+’ 화면 캡처전기요금 누진세로 인한 요금 폭탄 우려 때문에 서민들은 에어컨조차 쉽게 틀지 못하는 반면에, 누진세로 이득을 보고 있는 한국전력 직원들이 단체로 외유성 해외연수를 떠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다./ 출처=채널A ‘신문이야기 돌직구쇼+’ 화면 캡처


전기요금 누진세로 인한 요금 폭탄 우려 때문에 서민들은 에어컨조차 쉽게 틀지 못하는 반면, 누진세로 이득을 보고 있는 한국전력 직원들이 단체로 외유성 해외연수를 떠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다.

9일 노컷뉴스는 한전이 지난 6월 말 ‘글로벌 메가 트렌드 현장교육’의 해외 연수프로그램을 만들어 지난달 초 100명의 직원을 선발했으며, 이들은 20명씩 5개 조로 7박 8일 간의 일정으로 지난달 말부터 이달 말까지 미국에 다녀왔거나 떠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이번에 한전이 연수 명목으로 쓴 비용은 총 9억 원으로 1인당 900만 원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전기요금 누진제 등으로 실적이 향상되자 간부급 직원들의 외유성 관광을 보내기 위한 연수 꼼수”라며 이 연수가 교육으로 포장된 외유라는 거센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노컷뉴스가 보도한 연수계획서 자료에 따르면, 스탠포드 대학의 교수와 해외 석학 특강, 테슬라와 구글 등 현지 기업탐방, 그리고 워크숍이 전부인 데다가, 이번에 선발된 연수 대상자 중 대부분 간부급 직원이다. 선발대상은 2직급(부장)이 39명, 3직급(차장)이 38명으로 전체 77%를 차지했다.

이와 관련해 한전 내부 관계자는 해당 매체에 “이익이 늘어나니 이런 저런 명분을 만들어 간부들 해외 관광 시켜주는 것”이라며 “대상자들이 영어도 못 하는 경우가 태반인데 무슨 교육을 받는다는 건지 이해가 안 된다”고 말했다.

한전 측은 “이번 해외 연수는 외유성이 아니고 변화하는 에너지 산업의 글로벌 트렌드를 배우기 위한 것”이라며 “갓 입사한 직원과 퇴직을 앞둔 직원이 연수를 가는 건 의미가 없다고 보고 30대 이상 10년 차 이상 직원들을 위주로 선발하다 보니 오해가 생긴 것”이라고 밝혔다.

/주현정 인턴기자 hyunjeong1014@sedaily.com

주현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