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미세먼지 요인 상당부분 국내에서 비롯”

지난 18일 오전 서울 종로 일대 하늘에 드리운 미세먼지로 인해 출근길 차량의 형체와 불빛이 흐릿하게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지난 18일 오전 서울 종로 일대 하늘에 드리운 미세먼지로 인해 출근길 차량의 형체와 불빛이 흐릿하게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가 최근 발생한 미세먼지 현상과 관련해 자체분석을 통해 그 요인 상당부분이 국내에서 비롯됐다고 강조하며 출·퇴근 시간 대중교통 무료 조치 논란을 반박했다.

서울시는 19일 약식브리핑을 열고 이번 고농도 미세먼지의 원인에 대해 “중국으로부터 대기오염물질 유입과 함께 대기정체가 지속된 상태에서 국내 생성요인이 심화돼 대기오염을 악화시켰다”고 밝혔다.


이번 초미세먼지 고농도 현상은 초기에는 외부 유입이 주요 원인이었지만, 현상 중·후반부터는 대기정체 상태에서 서울과 수도권 등 한반도 내부 발생 요인이 크게 증가했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시는 그 주된 근거로 자동차나 난방 등 연소 과정에서 배출된 질소산화물에 의해 생성된 질산염이 평소보다 10배나 늘어났다는 점을 들었다. 반면에 장거리를 이동한 미세먼지, 즉 중국으로부터 넘어왔음을 가늠하게 하는 지표인 황산염의 증가율은 3.6배 증가하는 데 그쳤다고 설명했다. 이는 결국 이번 초미세먼지 고농도 현상이 한반도 내부 발생 오염원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아 생겼다는 것이다.


시는 이번 분석을 위해 백령도·관악산을 비롯해 서울과 수도권의 대기오염도를 추적하고, 대기질 혼합고도를 측정해 대기정체 현상을 분석했다.

관련기사



분석결과에 따르면 지난 14∼18일 서울 시내 시간당 초미세먼지 농도의 최고 수치는 16일 기록한 106㎍/㎥였다. 토요일이었던 13일 한파의 원인이 된 대륙성 고기압아 약화하면서 중국 내륙에서 일어난 고농도 오염물질이 한반도로 유입됐다. 다음 날인 14일에는 국내 대기가 정체되는 모습을 보였다가 15일 오전 들어 기류 변화로 정체가 일시 해소됐으나 같은 날 오후 북서풍을 따라 중국 오염물질이 다시 일부 유입됐다. 이후 16∼18일 사흘에 걸쳐 대기정체가 이어지면서 초미세먼지 농도가 대폭 올라갔다고 시는 전했다.

시는 “이처럼 비정상적으로 일정 기간 공기가 이동하지 않아 발전이나 난방 등에서 비롯된 오염물질이 대기 중에 오래 머물러 있었고, 이는 ‘런던 스모그 사태’와 유사하다”며 “올해 예상한 비상저감조치 발령 횟수가 7회였지만 최근 연속해서 이뤄지는 바람에 예상보다 더 많이 발령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시의 이번 발표는 최근 일련의 대기질 악화 현상의 원인이 국내 요인도 상당하다는 점을 앞세워 논란이 되고 있는 출·퇴근 시간 대중교통 무료’ 조치를 계속 시행할 것이라는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 관련해 시는 “PM-2.5(초미세먼지)는 원인 60∼70%가 자동차 배기가스 등 2차 오염물질이고 교통량을 줄이면 초미세먼지는 당연히 줄어들 것이다”고 강조했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