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KIST·포항공대, '꿈의 컴퓨터' 연산 검증하는 기술 내놨다

양자컴퓨터 개발-작동에 필요한 큐비트 정밀측정기술 개발

KIST 양자정보연구단 조영욱 박사가 양자컴퓨터의 연산과정을 검증할 수 있는 실험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KISTKIST 양자정보연구단 조영욱 박사가 양자컴퓨터의 연산과정을 검증할 수 있는 실험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KIST




국내 연구진이 ‘꿈의 컴퓨터’로 불리며 실용화단계까지 첩첩산중인 양자컴퓨터의 연산 과정을 효율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포항공대 연구진은 22일 기존 컴퓨터로는 풀 수 없는 문제를 양자역학을 활용해 빠른 속도로 풀 수 있는 양자컴퓨터의 연산과정을 검증하는 방법을 터득했다고 밝혔다.


양자컴퓨터를 개발해 잘 작동하는지 확인하려면 ‘큐비트’(qubit·양자컴퓨터의 정보처리 단위)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기술이 선행돼야 한다. 공동연구진은 이번에 양자 상태를 붕괴시키지 않고 연속으로 측정할 수 있는 ‘약한 측정기법’을 개발했다.

관련기사



이 기법을 활용하면 양자컴퓨터의 연산과정을 효율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실험으로 규명했다.

조영욱 KIST 선임연구원은 “양자컴퓨터는 깨지기 쉽고 다루기 어려운 양자역학적 상태를 유지하고 제어해야 해 구현하는 데 난제가 많다”며 “이번 측정기술이 양자정보기술 전반에 활용되고 양자컴퓨팅 연구 기반 확보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 15일 자에 실렸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