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스텔라, 분권형 거래시스템 오픈 등 2018 로드맵 발표

분권형 교환 시스템·라이트닝 네트워크 관련 프로젝트 진행





스텔라가 탈중앙화 거래시스템을 오픈한다. 소액결제 시스템인 라이트닝 네트워크도 완성도를 높일 계획이다.

25일(현지 시간) 스텔라는 공식홈페이지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18년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스텔라는 SDEX(the Stella Decentralized Exchange)를 열기 위해 지난해 말 전문가팀을 채용했다. 스텔라 측은 “현재 내부적인 프로토타입 개발을 진행 중”이라며 “계획, 브랜드, 대표직 등을 가까운 미래에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SDEX에서는 여러 종류의 스텔라 토큰들이 거래될 전망이다. 스텔라는 유동성을 공급해 차익거래를 최소화하는 한편 자산 종류를 최대화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이 밖에 △스텔라 ICO 토큰의 첫 거래 △자산 교환 시 최소 비용이 드는 경로 제시 △낮은 거래비용 △최종 소비자의 암호키 제어 등도 추진한다. 스텔라는 “대형 거래소들과 경쟁하기 위해 서비스 질을 높이고, 네트워크 참여자들을 늘여야 한다는 점을 안다”며 “우리는 꾸준히 파트너들에게 200만 달러를 보조금으로 지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스텔라는 비공개 거래를 원하는 시장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소액결제 시스템인 라이트닝 네트워크(Lightning Network)을 통합하겠다는 계획도 공개했다. 스텔라는 “라이트닝 네트워크는 장기적으로 확장성과 보안성을 획기적으로 향상 시켜줄 것”이라며 “네트워크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스텔라 고문과 비트코인 핵심 개발자인 제레미 루빈(Jeremy Rubin)이 협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라이트닝 네트워크는 대량의 소액결제를 위한 분산 시스템이다. 라이트닝 네트워크를 통해 사람들은 모든 거래를 블록체인 상에 공개하지 않고 암호화된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스텔라루멘은 로드맵 끝 부분에 유명한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맺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고 밝혔다. 홍보를 위해 무작정 파트너십을 늘리기보다 현재 파트너십을 맺은 기업들과 성공적으로 사업을 이끄는 게 낫다는 판단이다. 지난해 스텔라는 IBM, 템포 등 37개 기업과 파트너십이 종료됐다. 스텔라는 올 봄에 주요 파트너십 체결에 나설 예정이다.

/정보라 인턴기자 purple@sedaily.com

정보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