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수도권 노인요양시설 절반 이상 고층건물…대피 어려워"

“비상구, 알림 장치 등 대피 시설 없는 곳 다수…설치기준 마련해야”

노인요양시설 건물유형./[소비자원 제공]노인요양시설 건물유형./[소비자원 제공]


많은 노인요양시설이 고층건물에 있어 화재 등 재난이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대피하기 어려운 것으로 조사됐다. 비상구가 없거나 자동개폐가 가능한 출입문이 없는 곳도 있었다.

2일 한국소비자원은 수도권 소재 노인요양시설 20곳의 안전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 중 13곳(65.0%)이 고층건물 설치돼 있었다고 밝혔다. 단독건물에 있는 경우는 7곳(35.0%)뿐이었다. 고층건물에 있는 노인요양시설 13곳 중 4곳(30.8%)은 여러 층에 시설이 분산돼 있었다. 2곳(15.4%)은 다른 시설과 함께 한 개 층을 사용했다.


소비자원은 “지난달 발생한 밀양 요양병원 화재처럼 요양시설 입소 노인 대다수는 심신장애로 대피하기 힘들다. 해당 시설이 고층건물에 있는 경우 심각한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조사 대상 20곳 중 2곳은 재난 발생 시 자동개폐가 가능한 출입문이 없이 시설 안에 갇힐 우려가 있었다. △보행을 돕는 손잡이시설이 침실에 없는 곳은 19곳 △화장실에 없는 곳은 2곳 △응급상황 시 도움을 요청하는 알림 장치가 침실에 없는 곳은 5곳 △알림 장치가 화장실에 없는 곳은 2곳이었다. 2곳에는 비상구가 없어 출입구를 통해야만 대피할 수 있었다. 비상구가 설치된 곳 중 2개소는 비상구를 물건이 막고 있어 신속한 대피가 어려웠다.

소비자원은 “관계 부처에 고층건물 일부 층에 노인요양시설 설치를 제한하는 설치기준을 마련하고 안전 관련 시설기준을 재정비 하라고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홍태화인턴기자 taehwa@sedaily.com

홍태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