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檢, '채용비리 의혹' 광주은행·부산은행 본점 압수수색

부모가 면접관으로 참여·합격인원 조작 등 의혹

검찰이 8일 압수수색한 광주은행 본점 인사부 /연합뉴스검찰이 8일 압수수색한 광주은행 본점 인사부 /연합뉴스


하나은행을 시작으로 채용비리 의혹이 은행권 전반으로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검찰이 광주은행과 부산은행 본점을 압수수색했다.

광주지검 특수부 검사와 수사관 등 10명은 8일 오전 광주 동구 광주은행 본점 인사부 등을 압수수색해 인사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 또 채용비리 당사자인 이 은행 부행장보의 주거지에도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고 알려졌다.

광주은행 관련 채용비리 의심 사례는 2015년 채용 당시 이 은행 부행장보가 딸 면접위원으로 참여했다는 것이다. 부행장보는 다른 임원 3명과 함께 2차 면접위원으로 참여했고, 딸은 최종 합격했다. 부행장보는 면접위원 참여 사실이 알려져 좌천 전보됐고, 딸은 현재 광주은행 지점에서 근무하고 있다.


인사팀 채용 업무에 부당한 개입이 있었는지를 파악할 방침인 검찰은 업무방해죄 적용여부를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광주지검 관계자는 “금감원에서 발표한 내용 외에는 아직 확인된 것이 없다. 금감원과 압수수색에서 확보된 자료를 바탕으로 혐의점을 확인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부산지검 특수부 검사와 디지털 포렌식 수사관 등 19명도 같은날 오전부터 부산 남구 문현동 부산은행 본점을 압수수색해 인사채용 관련 서류와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하고 있다고 알려졌다. 또 채용비리 의혹이 불거진 관계자 사무실도 동시에 압수수색하고 있다고 전했다.

부산은행의 경우 1차 면접 전 인사부가 비공식적으로 지원자를 만나 특이사항을 인사담당 임원과 은행장 등에게 보고했다. 이 과정에서 여성 합격 인원을 임의로 늘려 전직 국회의원 딸 등 지원자 2명을 합격시켰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앞서 은행 채용비리가 의심되는 사례 22건을 적발한 금융감독원은 의혹이 확인된 하나은행, 국민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광주은행 등 5곳을 검찰에 수사 의뢰했다고 26일 밝힌 바 있다. 이어 대검찰청은 지난달 5개 관할 지방검찰청에 사건과 참고자료를 배당해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김주환 인턴기자 jujuk@sedaily.com

김주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