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남북정상회담 '여건조성' 잰걸음

통일차관, 中·日 대사와 면담

文 "美, 北과 대화 의사 밝혀"

김정은도 남북관계 개선 지시

조명균(오른쪽) 통일부 장관과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13일 오전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영상 국무회의에 앞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조명균(오른쪽) 통일부 장관과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13일 오전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영상 국무회의에 앞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정부가 주변국과 접촉에 나서는 등 남북정상회담 ‘여건’ 조성을 위한 행보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이에 더해 북한 고위급 대표단의 방남 결과를 보고받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지시를 내리면서 한반도 상황이 급진전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천해성 통일부 차관은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나가미네 야스마사 주한 일본대사와 만났다. 통일부는 “천 차관은 나가미네 대사와의 면담에서 평창올림픽 북한 참가 및 고위급 대표단의 방남 경과에 대해 설명했다”며 “우리 정부는 차분하고 침착하며 냉정한 입장에서 향후 남북관계 개선 지속과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국제사회와 함께 노력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천 차관은 이 자리에서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위한 협조 또한 구했을 것으로 보인다. 천 차관은 14일에는 추궈훙 주한 중국대사와 면담을 이어나간다.


문재인 대통령도 이날 청와대에서 라이몬즈 베요니스 라트비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열고 “미국도 남북대화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으며 북한과의 대화 의사를 밝혔다”며 “남북대화가 북미대화로 이어지도록 라트비아도 지속해서 지원을 부탁한다”고 당부했다고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이 직접 남북정상회담 ‘여건’ 조성에 나서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통화 또한 가까운 시일 내에 이뤄질 것으로 관측된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남북대화에 대한 (미국 측의) 태도와 입장이 우리와 많이 가까워지고 있다”면서도 “제일 중요한 역할과 키를 쥐고 있는 미국 백악관에서 조율된 입장이 나올 때까지 지켜볼 시간이 필요하다”고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정부가 오는 3~4월에 일본에서 열릴 예정인 한중일 정상회의에서도 남북정상회담 문제를 설명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북한 고위급 대표단의 방남 이후 김 위원장의 ‘후속대책’으로 남북관계 복원이 급물살을 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김 위원장은 김여정 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을 비롯한 고위급 대표단을 만나 “화해와 대화의 좋은 분위기를 더욱 승화시켜 훌륭한 결과들을 계속 쌓아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향후 남북관계 발전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실무대책 지시를 내렸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이날 보도했다.

이에 따라 남북이 앞서 합의한 군사실무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남북은 지난달 9일 고위급회담에서 한반도 군사적 긴장 완화를 위한 군사회담 개최에 합의했으나 개최 시기는 구체화되지 않았다. 북한이 그동안 대북 인도 지원 등을 위한 우리 측 민간단체의 방북을 거부해왔지만 이를 승인해줄 가능성도 있다.

박효정·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