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정보

[서울경제TV 해외선물 신세계] AG시스템 한 눈에 보는 경제

[서울경제TV 해외선물 신세계] AG시스템 한 눈에 보는 경제






[AG시스템] 2018.02.22 데일리 시황



[국내시황]



21일 코스닥지수, 전날보다 11.17포인트(1.29%) 오른 875.58에 마감

삼성디스플레이, 중단했던 대면적 OLED TV 사업 진출 재검토. OLEC주 주목.

삼성전자 갤럭시S9과 LG전자 2018년 V30, 3월 9일 동시 출시 유력.

코스피. 기관 매수세에 힘입어 하루 만에 반등. 전일 대비 14.53포인트(0.60%) 오른 2429.65로 마감.

외국인, 올 들어 유가증권시장 시가총액 상위 100개 종목 가운데 19개 종목(상장지수펀드?우선주 제외) 지분율 1%이상 확대

144개 기업 가운데 올 상반기(1~6월) 누적 영업이익이 작년 전체 이익 추월하는 곳, 11곳.

삼성SDI, 작년 1분기 673억원 적자에서 1년 만에 644억 원 흑자 전환

올 들어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제약, 바이오 업체들 공모가 대비 높은 상승률 기록.

동구바이오, 129% 상승. 알리코제약, 수익률 107% 기록.

갤럭시S9 공개 시점 임박으로 관련 부품주 관심 증가.

전문가들, 예상되는 후면 카메라 모듈 및 메인 기판 관련 부품에 주목 조언.

올 들어 국내 주식형 펀드(825개)의 평균 손익률(20일 기준), -0.28%, 중소형주 펀드(49개)는 연초 이후 평균 1.59% 수익률 기록.

[해외시황]



뉴욕증시 주요지수,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전망 강화에 국채 금리가 상승한 영향으로 하락. (다우, -0.67% )

미국의 10년물 국채 금리, 2.94%까지 상승. 다시 4년내 최고치.

연준의 올해 경제 성장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긍정평가가 영향.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 올해 두 차례 기준금리 인상 적절 견해.


1월 기존주택판매, 낮은 재고와 빠른 가격 상승 부담에 감소. 전월 대비 3.2% 감소한 538만 채 집계.

관련기사



2월 미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전월의 55.5에서 55.9로 상승. 40개월 내 최고치.

2월 미 서비스업 PMI, 전월 53.3에서 55.9로 상승.

달러인덱스, 0.40% 상승. 단기 국채금리 상승으로 1주일 만에 가장 높은 수준 기록

유가, 미국의 원유재고 과다와 달러화 강세 등으로 5영업일 만에 하락세 전환

3월물 하락 WTI, -0.18% 하락

< 미국 >



* 핵심이슈

1월 FOMC 의사록, 금리인상 궤도 가속 가능성에 의견 일치.

댈러스 연은 총재, 금리인상 완만 전개 필요성 강조

* 이슈분석

미국 은행권, 트럼프 정부 규제완화에 기대

美 주식시장, 금융위기 전인 2007년 초와 흡사

미국 주택경기, 금리상승 속 경제 기초여건 호조로 양호한 수준 유지

맥킨지 보고서, 응용단계에 진입한 디지털 기술이 향후 생산성 제고 주도 예측.

< 유럽 >



* 핵심이슈

유로존 통합 PMI, 2월에 57.5 기록. 1월 58.8에서 하락.

잉글랜드 은행 총재,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 언급

영국 2017년 10월~12월 실업률, 4.4%. 7~9월의 4.3%에서 소폭 상승.

* 이슈 분석

유럽 역내 은행 통제 구조적 한계. 은행시스템 신뢰 훼손

* 본 기사는 전문가의 개인적인 의견이 반영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투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김도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