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정경진 전 부산시 행정부시장 "블록체인기반 청년행복센터 제시"

더불어민주당 부산시장 경선 후보로 나설 정경진 전 부산시행정부시장이 청년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공약을 내놨다. 기존 중앙의 공급자 지향 청년정책이 아니라 현장 수요자 지향 정책인 블록체인 기반의 청년행복센터를 건립·운영하겠다는 것이다.

정 전 행전부시장은 23일 오후 신라대학교에서 열린 한국지방정부학술대회에서 ‘청심환(청년들의 마음을 환하게) 해법’을 정책으로 제시했다. 정 전 행정부시장은 이 자리에서 “청심환 해법으로 국내는 물론 세계 최초로 블록체인기술을 적용한 ‘청년행복센터 구축 및 운영’ 방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청년을 위한 사회안전망이자 제도적 보장 장치 역할을 할 청년행복센터는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청년이면 누구든지 자신의 삶에 관한 문제와 고충, 관심사항 등을 한 곳에서(One-Stop), 24시간 365일 멈춤 없이(Non-Stop) 원하는 것을 필요에 따라 맞춤식으로 선택하는 수요자 참여형 복지제도이자 서비스장치다.


청년행복센터는 청년 개인의 상황과 형편에 따라 카페테리아(Cafeteria)식으로 운영한다. 부산지역 16개 자치구·군별로 1곳을 지정해 청년의 삶(진로·건강·복지·자기관리 등)에 관한 표준화된 업무(상담·조사·정보제공·지원기능 등) 및 절차를 온라인 및 오프라인 방식으로 제공하는 방식이다.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희망자에게 멤버쉽(Membership) ID를 발급, 관심 및 희망 사항을 올려(List up) 블록체인 기반(비밀보호, 경험공유, 정보 및 상담제공)의 청년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블록체인 기반 청년행복센터로 운영한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블록체인기반의 청년행복센터 개념도./사진제공=포럼부산삐블록체인기반의 청년행복센터 개념도./사진제공=포럼부산삐




정 전 행정부시장은 또 청년행복센터와 연계해 청년구직촉진수당의 도입과 실업급여로 대표되는 고용 안전망의 확대, 고용 관행을 개선하겠다고도 했다. 취업성공패키지로 대표되는 중앙정부의 정책 목표와 추진방식을 전면 개혁하고, 청년수당으로 대표되는 여러 지방정부의 정책성과를 수용, 통합, 조정해 통합적인 청년 안전망을 갖춘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대학, 지방정부, 중앙정부 차원에서 난립하는 취업지원기관의 연계 운영과 정책 전달 체계에 대해 정비도 한다는 계획이다. 정 전 행정부시장은 “청년들이 떠나고 있는 부산에는 청년의 마음을 환하게 만드는 정책 처방이 절실하다”며 “청년행복센터는 지역 청년 문제 해결의 거점 역할을 할 것”이라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