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대화론자 조지프 윤 사퇴..트럼프 "北 비핵화해야만 대화"

백악관 내 대북 강경론 득세로

북미 대화채널 가동 차질 우려

靑 "100% 조건 걸면 어려워"





미국 측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인 조지프 윤(사진)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돌연 사퇴 의사를 밝혔다. 그의 사퇴 소식은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북미대화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는 시점에 전해졌다. 미 정부 내 대표적인 대북 대화파였던 윤 대표의 퇴진으로 북미 간 채널 단절 우려와 함께 도널드 트럼프 정부 내 대북 강경론이 더욱 힘을 얻을 수 있다는 전망도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26일(현지시간) CNN·워싱턴포스트(WP) 등 미 언론에 따르면 윤 대표는 오는 3월2일을 마지막으로 국무부에서 은퇴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윤 대표는 CNN에 “이 시점에서 은퇴하기로 한 것은 전적으로 내 결정”이라며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이 아쉽다면서도 사임을 승인했다”고 덧붙였다. 헤더 나워트 미 국무부 대변인도 “윤 대표가 개인적인 이유로 은퇴를 결정했고 틸러슨 장관이 마지못해 윤 대표의 결정을 받아들였다”며 이를 확인했다. 윤 대표의 갑작스러운 퇴진을 두고 트럼프 정부 내 대북 정책의 혼선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윤 대표는 꾸준히 대화를 지지하며 대북 관여 정책을 주장해왔지만 ‘화염과 분노’ 등을 언급하며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과 말폭탄을 주고받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의해 좌절됐다고 WP는 지적했다.

관련기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주지사 연례회동을 갖고 북미대화에 대한 정책을 설명하고 있다.        /UPI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주지사 연례회동을 갖고 북미대화에 대한 정책을 설명하고 있다. /UPI연합뉴스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윤 대표에게 북한에 대해 보다 대결적인 접근을 계획하고 외교 해법뿐 아니라 군사 타격이 임박했다는 혼합된 메시지를 보내도록 강요했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그의 퇴진이 한반도 이슈에 대한 미 정부 인사들 간의 간극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은 북한의 비핵화가 먼저라는 조건을 재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북한과 오직 적절한 조건 아래에서만 대화하기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세라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앞으로 논의될 어떠한 대화든 북한이 한반도 비핵화에 동의하는지에 오로지 초점이 맞춰져야 할 것”이라며 “이것이 우리가 그들과 어떤 대화든 할지 말지를 좌우할 주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청와대 관계자는 “대화의 조건을 서로 조금씩 양보하면 북미대화가 더 순조롭게 이뤄지지 않겠느냐”며 “어떤 조건을 100% 걸고 가면 대화 자체도 어려워진다”고 말했다. 다만 북미대화의 입구로 한미 연합군사훈련을 연기 및 축소하는 것에 대해서는 “시기상조”라면서 “패럴림픽이 끝난 뒤 공식 입장이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남북은 이날 오전 판문점 북측 지역인 통일각에서 북한의 평창동계패럴림픽 참가를 위한 실무회담에 들어갔다. 이들은 패럴림픽에 참가할 북측 대표단·선수단의 규모와 체류기간, 이동 경로, 숙식 등 편의 제공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뉴욕=손철특파원 박효정기자 jpark@sedaily.com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