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호동·송호근 교수, 서울대 석좌교수 신규 임용

서울대 김호동 동양사학과 교수(왼쪽), 송호근 사회학과 교수.서울대 김호동 동양사학과 교수(왼쪽), 송호근 사회학과 교수.


서울대학교는 동양사학과 김호동(63) 교수와 사회학과 송호근(62) 교수를 석좌교수로 신규 임용했다고 5일 밝혔다.

서울대는 “탁월한 연구역량과 더불어 양극화와 사회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국립대로서 사회적 문제 해결에 기여한 바를 고려했다”고 석좌교수 임용 배경을 설명했다.


김 교수는 중앙유라시아 역사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로 평가받는 학자다. 유라시아 대륙의 수십 종류 언어와 사료를 정확하고 심도 깊게 파악하고 있으며 특히 몽골 제국과 고려 관계에 대한 역사연구에 정통하다. ‘동방견문록’ 등 고전들을 한글로 처음 완역하는 등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

관련기사



송 교수는 노동문제와 사회 불평등 문제 연구에 집중하면서 현실 가능한 처방을 제시한 학자로 평가받고 있다. 한국 민주주의 및 복지정책의 발현 매커니즘을 통해 ‘제도주의 정책사회학’ 패러다임을 구축했다. 또 사회현상의 본질 등을 설명하는 칼럼니스트로 유명하다.

이번 석좌교수 임명으로 서울대에는 총 6명의 석좌교수가 재직하게 됐다. 자연대학에는 물리·천문학부 노태원 교수와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가, 공과대학에는 전기정보공학부 정덕균 교수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가 각각 석좌교수로 있다. 이밖에 노벨상수상자초청사업의 일환으로 인류학과 권헌익 교수, 수리과학부 스탠리 오셔 교수, 물리천문학부 김필립 교수, 의과학과 아론 치카노베르 교수 등 4명이 초빙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