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서울경제TV] 특허청 ”금메달급 가상현실 특허 확보해야”

평창올림픽, 가상현실 특허 금메달 각축장

“VR통해 관람 실감나게, 경기력 뛰어나게”

연도별 가상현실 분야 출원건수. / 자료=특허청연도별 가상현실 분야 출원건수. / 자료=특허청




평창 동계올림픽이 지난달 25일 폐막하고 오는 9일 평창 동계패럴림픽을 앞두고 있다. 이번 평창 동계올림픽은 드론을 이용해 연출한 화려한 개막식에서부터 가상현실(VR·Virtual Reality)을 이용한 생생한 경기 중계까지 최신의 IT 기술을 다양하게 선보이며 세계인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특히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해 시청자가 각종 경기영상을 원하는 위치·시점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제공한 VR 올림픽 중계는 종래 TV로 송출되는 영상을 단순히 시청하는 경험에서 벗어나, 시청자에게 보다 현장감 있고 다양한 관람 경험을 제공하기에 충분했다는 평가다.


VR을 이용한 경기 중계가 시청자들에게 생생하고 풍부한 관람 경험을 제공했다면, VR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훈련 기술은 올림픽 참가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VR 시뮬레이션 훈련은 시공간적, 비용적 제약 없이 선수들에게 불필요한 위험을 배제하고 전문적인 훈련을 지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동계올림픽 종목은 물론이고 대중 스포츠로써 인기가 높은 야구, 농구, 풋볼 등 종목에서도 이미 프로선수들의 전문훈련을 지원하는 기술로 활용되고 있다.

관련기사



특허청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출원 공개된 VR 관련 특허 출원건수는 2,475건이다. 이 중 스포츠 분야가 75건, 방송 분야가 876건, 3차원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관련 분야가 1,124건 출원된 것으로 분석됐다.

연도별 출원건수를 살펴보면, VR 관련 출원은 2010년부터 2012년 까지는 다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지속적으로 출원건수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고, 스포츠, 방송, 시뮬레이션 관련 분야의 출원도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김희태 특허청 가공시스템심사과장은 “VR 기술은 스포츠의 대중화와 고도화 양측면 모두에 기여할 수 있고, 장애우를 포함한 더 많은 이용자가 익스트림 스포츠 등 더 다양한 스포츠를 즐길 수 있게 해줄 것이다”면서 “관련 시장 선점을 위해 금메달급 특허기술의 확보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정창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