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 '섬유·장신구 유해물질 시험분석소' 설치

이르면 9월 남부·북부 2곳에

이르면 오는 9월 경기 도내에 섬유·장신구 유해물질 시험분석소가 들어선다. 김진흥 경기도 행정2부지사와 허남용 국가기술표준원장은 7일 양주시에 있는 한국섬유소재연구원에서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섬유·장신구 제품안전 인프라 구축사업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국가기술표준원은 시험분석 장비 도입에 필요한 국비 12억6,000만원을 지원한다. 도는 5억4,000만원을 들여 경기북부(한국섬유소재연구원)와 남부(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각각 1곳씩 ‘섬유·장신구 유해물질 시험분석소’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곳에서는 도내 10인 이하 영세 섬유·장신구 분야 기업과 소상공인들을 대상으로 제품 KC인증에 필요한 시험분석을 하게 된다. 또 유해물질 검출 시 원인분석과 해결방안 제시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하게 된다.

관련기사



도는 분석비용의 75%를 지원해 기업과 소상공인들의 부담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도는 특히 부적합 제품에 대한 사례를 데이터베이스(DB)로 축적, 유해물질 발생에 대한 보다 정확한 원인분석의 틀을 마련할 계획이다. 경기도에는 전국 편직업체의 56%, 염색업체의 52%가 있지만, 섬유 전문 시험기관이 없어 불편을 겪어 왔다.

김진흥 부지사는 “제품안전 인프라 구축은 국가의 책무”라며 “기업과 소상공인은 인증부담을 덜고, 국민은 섬유제품을 안전하게 믿고 쓰는 환경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