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상암·수색은 디지털미디어…가산G밸리 창조산업 거점으로 육성

서울시 洞단위 '2030 생활권계획'

192만㎡ 상업지역 새로 지정…74% 강북·강서 배분

비강남·낙후지역 상업기능 강화해 지역불균형 해소

서울시는 2030 서울생활권계획을 4년 만에 완성하고 본격적으로 가동하겠다고 7일 밝혔다./연합뉴스서울시는 2030 서울생활권계획을 4년 만에 완성하고 본격적으로 가동하겠다고 7일 밝혔다./연합뉴스


서울시가 동(洞) 단위의 개발전략을 세밀하게 구상한 ‘2030 서울생활권계획’을 발표했다. 비강남·낙후지역의 업무·상업 기능을 강화해 지역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담겼다.

서울시는 2030 서울생활권계획을 4년 만에 완성하고 본격적으로 가동하겠다고 7일 밝혔다. 이 계획은 서울시가 2014년 수립한 ‘2030 서울플랜’의 후속 계획이다. 생활권계획은 3∼5개 동을 하나로 묶은 동네 단위 계획이다. 서울 전역을 △ 동남권(잠실·강남 일대) △ 동북권(창동·상계·청량리·왕십리) △ 서남권(영등포·여의도·가산·마곡) △ 서북권(상악·수색) △ 도심권 등 5개 권역, 116개 지역 생활권으로 나눴다.

서울시가 생활권 계획을 세운 것은 지역간 일자리, 주거, 교육 인프라 차이가 뚜렷한 불균형 문제를 해소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해서다. 서울시는 “각 지역의 자족성을 강화하고 지역 간 균형 발전을 유도하는 도시관리를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균형 발전을 위해 서울시는 2030년까지 상업지역 총 192만㎡를 새롭게 지정한다. 유보 물량을 제외한 신규 상업지 배분 물량 134만㎡ 중 44%(59만㎡)를 강북·노원·도봉구 등 동북권에 배분한다. 강서·구로·금천 등 서남권에는 상업지역 40만㎡가 지정된다. 신규 상업지 물량의 74%가 강북·강서에 배분된다. 동남권과 서북권에는 각각 17만 17만㎡, 18만㎡가 지정된다.

관련기사



116개 지역 생활권에 대해서는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발전 방안을 도시공간, 산업·일자리, 교통 등 7개 분야로 나눠 제시했다. 서북권의 상암·수색은 디지털미디어 거점으로 육성한다. 수색복합역사와 경의선 상부부지를 활용해 영상·미디어와 관련 연구개발(R&D) 기능을 확충한다. 동북권 청량리역에는 복합환승역사를 만들어 교통·상업 중심지로서 기능을 강화한다. 서남권 가산G밸리는 4개 권역으로 나눠 도심형 산업, 패션·디자인, 제조업 등을 기반으로 한 창조산업 거점으로 육성한다.

생활권계획의 세부 내용은 서울도시계획포털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올해 하반기에는 위치 기반의 생활권계획 홈페이지를 새로 연다. 권기욱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2030 서울생활권계획은 지역주민의 관심과 참여 속에 4년간 만든 우리 동네의 ‘미래지도’”라며 “서울의 지역균형성장을 견인할 버팀목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상헌인턴기자 aries@sedaily.com

한상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