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UNIST-헬름홀츠, 미래 에너지 시대 앞당긴다

8일 UNIST-헬름홀츠 율리히 공동연구센터 개소

태양전지, 텐덤전지 등 차세대 에너지 산업 관련 연구 본격화

8일 울산 울주군에 위치한 UNIST에서 UNIST-헬름홀츠 율리히 미래 에너지 혁신 연구센터 현판식이 열리고 있다. /사진제공=UNIST8일 울산 울주군에 위치한 UNIST에서 UNIST-헬름홀츠 율리히 미래 에너지 혁신 연구센터 현판식이 열리고 있다. /사진제공=UNIST


미래 에너지 시대를 앞당길 연구센터가 울산에 문을 열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8일 제1공학관에서 ‘UNIST-헬름홀츠 율리히 미래 에너지 혁신 연구센터 개소식’을 열었다.


UNIST는 에너지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역량을 가진 독일 헬름홀츠 재단 산하의 율리히 연구소와 공동으로 ‘태양전지-이차전지 융합에 특화된 미래 대체에너지’를 연구할 계획이다. 이 센터는 2017년 4월에 선정돼 연구 공간 및 설비 확충을 진행해왔다.

연구기간은 2022년까지며 연구비로 국비와 시비 등 총 39억5,000만원이 투입된다. 헬름홀츠 재단에서도 매칭자금으로 연간 50만 유로(약 6억6,000만원)와 현물 18만 유로(약 2억4,000만원)를 지원한다.


공동연구센터의 주관 연구책임자인 조욱 신소재공학부 교수는 “공동연구센터는 한독 양국 간 상호협력 및 공동연구를 촉진할 기초·응용 융합형 연구를 진행한다”며 “향후 보쉬(Bosch) 및 국내 기업들의 참여를 통해 대규모 산학연 클러스터로 발전시켜나갈 계획이다”고 포부를 밝혔다.

관련기사



연구센터는 ‘차세대 에너지 소재 분석’과 ‘친환경 태양광 전지’, ‘알칼리 금속계 이차전지’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한다. 여기엔 에너지 생산 및 저장 소재 분석, 통합 설계 분석 장비 및 소프트웨어 개발, 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 텐덤형 태양광 소재·시스템 개발, 고체형-통합형 리튬·나트륨 이차전지, 리튬-에어전지 개발이 포함된다.

주요 연구진으로 태양전지 분야에는 UNIST 조욱, 최경진, 송명훈 교수와 헬름홀츠 연구소의 우베 라우 IEK-5 센터장이 참가한다. 이차전지 분야에는 UNIST 손재성, 차채녕, 강석주 교수와 헬름홀츠 뤼디거 아이헬 IEK-9 센터장이 참여한다.

정무영 UNIST 총장은 “세계적 연구력을 보유한 율리히 연구소와의 협업은 새로운 패러다임의 융합소재, 소자연구를 창출할 것”이라며 “에너지 신산업을 창출할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사업화까지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