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宋 "한미훈련 때 핵잠수함 안와도 돼" 논란

국방부 "농담" 해명... 훈련규모에 관심

문 대통령 "항구 평화까지 넘을 고비 많아

방북 결과, 美지원이 만든 성과

韓성장엔 여성 눈물 녹아 있어

미투로 드러난 차별·아픔 위로"

송영무(오른쪽) 국방부 장관이 8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방부를 방문한 스콧 스위프트 미 태평양함대사령관과 대화하고 있다. 송 장관은 한미 연합훈련에 원자력잠수함 등이 오지 않아도 된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는 발언을 해 논란이 일었다.   /연합뉴스송영무(오른쪽) 국방부 장관이 8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방부를 방문한 스콧 스위프트 미 태평양함대사령관과 대화하고 있다. 송 장관은 한미 연합훈련에 원자력잠수함 등이 오지 않아도 된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는 발언을 해 논란이 일었다. /연합뉴스




송영무 국방부 장관이 8일 스콧 스위프트 미 태평양함대사령관(해군 대장)을 만나 한미 연합훈련에서 원자력잠수함 등이 오지 않아도 된다고 밝혀 논란이 일고 있다. 국방부는 송 장관이 농담과 위로 차원으로 한 말이라고 해명했지만 훈련 규모에 초미의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군 최고위관계자가 이 같은 발언을 해 주목된다.

송 장관은 이날 국방부에서 스위프트 사령관을 만나 “오는 4월 말에 남북 정상회담이 있을 예정이고 한미훈련이 계속될 텐데 키핑 스테이를 잘해주셨으면 좋겠다”며 “확장억제전력이라든지 원자력잠수함 같은 것들을 사령관으로 계실 때까지는 한반도에 전개 안 하셔도 된다”고 말했다. 스위프트 사령관의 임기는 5월까지다. 이에 스위프트 사령관이 “준비하고 있겠다”고 하자 송 장관은 “아니, 한반도에 오지 않고…”라고 말했다. 국방부 고위관계자는 기자실을 찾아 “전역하는 스위프트 사령관에게 위로와 농담을 했다”면서 “재임 중 전략자산 한반도 배치 등을 위해 고생했기 때문에 위로 차원에서 한 말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올해 연합훈련은 예년 수준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안보관계는 남북뿐 아니라 북미대화와 비핵화가 같이 나가야 한다”며 “아직 갈 길이 멀다. 낙관도, 예상도 어렵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제50주년 국가조찬기도회에 참석해 “이제 한고비를 넘었지만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인 평화에 이르기까지 넘어야 할 고비들이 많다”며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전일 청와대에서 열린 여야 5당 대표 오찬 회동에서 “비핵화의 입구는 동결이고 출구는 완전한 비핵화라는 막연한 방법을 제시했지만 앞으로 필요한 것은 구체적인 협의”라며 “미국과 집중적으로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대화 여건이 무르익었지만 아직 초기 단계에 불과해 가야 할 길이 멀다는 뜻이다.

관련기사



이날 문 대통령은 “오랜 반목과 갈등으로 인해 아물지 않은 상처가 우리 안에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우리 운명을 남에게 맡길 수는 없는 노릇”이라며 “미국 등 국제사회와 손잡고 북한과 대화하며 한 걸음씩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초석을 놓겠다”고 강조했다. 또 대북특사단과 관련해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를 위한 큰 발걸음이 됐다”며 “남북 간 대화뿐 아니라 미국의 강력한 지원이 함께 만들어낸 성과”라고 평가했다.

미투 피해자의 아픔도 위로했다. 문 대통령은 “한국 교회와 대한민국의 성장에는 여성들의 기도와 눈물이 녹아 있다”며 “미투 운동으로 드러난 여성들의 차별과 아픔에 대해 다시 한 번 위로와 격려의 말씀을 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안희정 전 충남도지사 성폭행 폭로가 나온 후 문 대통령이 미투 운동에 대해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