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승차거부한 택시에 첫 '삼진아웃' 자격취소

개인택시 기사에 자격취소·과태료 부과…처벌 권한 서울시가 가져온 뒤 처분율 높아져

서울시는 한 개인택시 기사의 승차거부가 세 차례 적발돼 자격 취소와 함께 과태료 60만원을 부과했다고 8일 밝혔다./연합뉴스서울시는 한 개인택시 기사의 승차거부가 세 차례 적발돼 자격 취소와 함께 과태료 60만원을 부과했다고 8일 밝혔다./연합뉴스


반복적인 승차거부를 한 서울 택시기사에 대해 세 번째로 ‘삼진아웃’ 퇴출 사례가 나왔다.

서울시는 한 개인택시 기사의 승차거부가 세 차례 적발돼 자격 취소와 함께 과태료 60만원을 부과했다고 8일 밝혔다. 이 택시기사는 앞으로 1년간 영업할 수 없으며 이후에는 면허를 다시 따야 택시 운전을 할 수 있다. 2015년 승차거부 삼진아웃 제도가 도입된 뒤 퇴출 사례가 나온 것은 이번이 세 번째이며, 서울시가 자치구로부터 승차거부 처분 권한을 회수한 이후 첫 퇴출 사례다.


퇴출된 택시기사는 2016년 4월 승객이 탑승 전 목적지를 말하자 “안 간다”며 승차를 거부했다. 지난해 9월에는 먼저 승객에게 다가가 목적지를 물었으나 답을 듣고 그냥 가버려 두 번째로 적발됐다. 올해 1월에는 승객이 행선지를 말하자 가는 방향과 다르다며 거부했다가 적발돼 ‘삼진아웃’을 당하게 됐다.

관련기사



지난해 12월까지 승차거부 택시에 대한 처벌 권한은 각 구청에 있었다. 그러나 영등포구는 승차거부 단속에 걸린 택시 85%에 행정 처분을 내린 데 비해 강남구 처분율은 12%에 그치는 등 자치구별로 처분율 차이가 커 서울시가 처벌 권한을 회수했다. 이후 처분율은 50% 내외에서 93%로 높아졌다. 서울시는 지난달 말까지 두 달간 144건(법인 96건, 개인 48건)의 승차거부를 적발해 95건의 처분을 완료했다. 처분이 완료된 95건 중 1차 경고가 80건 있었고, 2차 자격 정지는 7건, 3차 자격 취소가 1건이었다. 나머지 7건은 승차거부가 아닌 것으로 판명됐다.

양환수 서울시 택시정책과장은 “100% 처분을 목표로 승차거부를 근절하겠다”며 “승객을 골라 태우려고 허위로 빈 차 표시를 끄거나 예약 표시를 켜고 대기하는 등 날로 교묘해지는 잠재적 승차거부도 지속적으로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승객이 승차거부 신고를 하려면 동영상이나 녹음 등의 증거자료를 확보해야 한다. 서울시가 소개한 승차거부 유형은 ▲ 택시가 승객 앞에 정차해 행선지를 물은 후 승차시키지 않고 출발하는 행위 ▲ 빈차등을 끄거나 고의로 예약등을 켜고 승객을 골라 태우는 행위 ▲ 승객이 밝힌 행선지와 반대로 간다며 승차를 거부하는 행위 ▲ 택시호출 시 요청한 목적지가 탑승 후 변경됐을 때 해당 승객을 하차시키는 행위 ▲ 일행이 승차한 후 각각 하차지점이 다를 때 선(先) 하차지점에서 모두 하차시키는 행위 등이 있다. 다만 서울면허 택시가 서울 외 지역으로의 운행을 거부하거나, 서울 시내에서 경기도 택시가 서울로 가는 승객을 태우지 않는 경우, 행선지를 말하지 못할 정도로 만취 상태인 승객을 태우지 않는 경우, 교대시간임을 공지하고 1시간 이내에 차고지에 돌아간 경우 등은 승차거부가 아니다. /박신영인턴기자 wtigre@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