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김정은 특별메시지 뭘까] '비핵화·평화체제 교환' 승부수...'미국인 석방' 언급 했을 수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8일(현지시간) 정의용 청와대 안보실장, 서훈 국정원장을 면담한 후 전향적인 대북 메시지를 잇따라 내놓으면서 그 원동력이 된 것으로 보이는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특별 메시지’의 내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9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주미한국특파원들과 만나 “김 위원장이 (정 실장에게) 트럼프 대통령에게 특별히 전달해달라고 한 특별 메시지가 있었다”고 전했다. 해당 메시지는 ‘구두 메시지’였으며 “정상회담을 성사시키기 위한 신뢰구축의 하나로서 ‘매우 포괄적인 이야기’였다”고 이 관계자는 소개했다. 이 특별 메시지는 정 실장 일행이 최근 대북특사로 평양 방문 당시 김 위원장을 만난 자리에서 미국 측에 전달을 요청받은 것이다. 정 실장으로부터 8일 특별 메시지를 전달받은 트럼프 대통령의 반응에 대해 이 고위관계자는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 특별 메시지의 내용은 아직 대외에 공개되지 않았다. 청와대 내부에서도 문재인 대통령과 임종석 비서실장, 5명의 대북특사단 등 모두 7명 만이 알고 있을 정도로 극비의 내용이다. 따라서 정확히 내용을 파악하기는 쉽지 않지만 적어도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신뢰를 얻기 위한 김 위원장의 승부수가 담겨 있었을 것이라는 게 외교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진단이다. 특히 북한이 위장평화전술을 펴는 것이 아니라 진심으로 비핵화 의지가 있다는 점을 입증하기 위한 김 위원장의 발언이 특별 메시지에 포함됐을 가능성이 있다.

관련기사



한반도의 안보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주한미군 등 미국의 일정한 역할을 김 위원장이 언급했을 수도 있다는 분석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북한의 선대 국가원수였던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생전 남북정상회담에서 통일 이후에도 주한미군이 남아 있는 것을 수용하는 뉘앙스의 발언을 한 점이 이 같은 추론의 근거다.

이 밖에도 북한에 억류 중인 미국인 석방 등 인권문제와 관련한 김 위원장의 전향적 언급이 있었을 가능성도 있다. 북한이 미국으로부터 정상국가로 인정 받기 위해 국제적인 불법행위 등을 중단하려는 의지가 담긴 내용이 포함됐을지도 관심사다. 김 위원장은 이 같은 전향적 의지를 특별 메시지에 담은 뒤 트럼프 대통령에게 북미수교, 대북압박 완화 및 해제 등을 요청했을 수 있다고 정치권은 분석하고 있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