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월세 거주자 서울 아파트 사려면 평균 40년 걸려"

전세 거주자는 서울 아파트 사는데 18년 소요

자녀 1인당 고교졸업까지 교육비 평균 8,552만원

자녀 1명이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드는 총 교육비가 평균 8,552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한은행·연합뉴스자녀 1명이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드는 총 교육비가 평균 8,552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한은행·연합뉴스


자녀 1명이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드는 총 교육비가 평균 8,552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한은행이 12일 발표한 ‘2018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이 중 사교육비가 6,427만원(75.1%)이었다. 자녀의 대학 등록금까지 고려하면 교육비로 1억원 이상을 쓰는 셈이다.


소득 구간별로 보면 월평균 소득이 1,000만원 이상인 가구의 자녀 1인당 총 교육비는 1억4,484만원으로 300만원 미만인 가구(4,766만원)의 3배였다. 지역별로는 서울 거주자가 1억702만원으로 수도권과 광역시를 제외한 지방(7,110만원)의 1.5배였다. 특히 서울 강남 3구는 1억2,518만원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 연령별로 보면 영유아 때는 월평균 12만원을 쓰지만, 미취학 아동기는 18만원으로 영유아 때보다 50%가 늘었다. 또 초등학생이 되면 월평균 30만원으로 직전 단계보다 70% 증가하고, 중학생은 41만원, 고등학생은 47만원을 사용해 직전 단계보다 각각 40%, 20%가량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있는 가구의 평균 21%는 자녀를 해외 유학이나 연수를 보낸 경험이 있었다. 월 소득 1,000만원 이상의 고소득층은 41.7%가 자녀를 해외로 보내 공부시켰지만 300만원 미만은 14.4%에 불과했다.


부모가 자녀의 교육을 위해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 주변 학부모들과 정기적으로 모이는 경우(16.1%)가 가장 많았다. 서울 강남 3구의 경우 유명 강의를 등록하거나 유료의 진학 컨설팅을 받는 비율이 20.5%나 됐다. 학군을 고려해 이사하는 경우는 4.5%에 불과했지만, 서울 강남 3구의 경우 14.9%가 자녀 교육을 위해 이사한 경험이 있었다.

관련기사



이와 함께 현재 거주 중인 주택이 본인 또는 배우자 명의인 경우는 56.2%였다. 또 거주용 주택 외의 부동산을 추가로 소유한 사람은 13.6%였다. 반면 전세 거주자는 27.0%, 월세 거주자는 16.8%였다. 연령별로 보면 20대의 90.1%, 30대의 56.6%는 전·월세로 살았고, 40대는 59.7%, 50대 이상은 70.2%가 자가 주택 생활자였다.

특히 50대 이상은 19.6%가 거주용 외에 별도의 부동산을 소유했다. 향후 부동산을 사겠다는 의향은 2017년 기준 54.1%로 전년 대비 17.9%포인트 낮아졌다. 다만 향후 3년 내 부동산을 사겠다는 응답은 25.8%로 2016년(26.9%)과 비슷했다.

이들이 사겠다는 부동산 유형은 아파트가 66.8%로 가장 많았다. 또 부동산 구매 예상 가격은 평균 3억715만원으로 전국 아파트 실거래가 평균(2억8,907만원)과 비슷했다.

그러나 서울 거주자들의 부동산 구매 예상액은 4억3,143만원으로 서울 아파트 평균 실거래(5억8,752만원) 보다 약 1억5,000만원 적었다. 특히 서울 강남은 예상 가격(4억6,072만원) 보다 평균 실거래가(7억1,477만원)가 2억 5,000만원 이상 컸다.

전세 거주자가 현재 거주 중인 전세 보증금과 매월 저축액, 잉여자금을 모두 모은다면 아파트를 사는데 걸리는 기간은 평균 7.3년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서울 내 아파트를 사려면 걸리는 기간은 평균 20.7년으로 늘어나고, 특히 서울 강남 아파트는 평균 26.5년이 걸렸다. 또 월세 거주자는 부동산 구매까지 평균 18.4년이 소요됐다. 서울 내 아파트는 평균 40.1년, 서울 강남 아파트는 평균 49.3년이 걸렸다.

/김주환 인턴기자 jujuk@sedaily.com

김주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