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백브리핑] 난민대상 무료 강습 확대 등 마크롱 불어진흥책 내놓은 이유

브렉시트로 영어 위상 흔들리자

'강한 프랑스' 전략 적기 판단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국제 프랑코포니(프랑스어 사용권)의 날인 20일(현지시간) 파리 프랑스한림원(아카데미프랑세즈)에서 프랑스어 진흥정책인 ‘프랑코포니를 위한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파리=로이터연합뉴스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국제 프랑코포니(프랑스어 사용권)의 날인 20일(현지시간) 파리 프랑스한림원(아카데미프랑세즈)에서 프랑스어 진흥정책인 ‘프랑코포니를 위한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파리=로이터연합뉴스




백브리핑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프랑스어 진흥정책을 발표했다.

리베라시옹은 국제 프랑코포니(프랑스어 사용권)의 날인 20일(현지시간) 마크롱 대통령이 프랑스어의 국제적 위상 확대를 위해 ‘프랑코포니를 위한 전략’을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난민 대상 무료 불어강습 현 250시간에서 최대 600시간으로 확대 △유럽연합(EU) 공무원을 위한 불어 강습 강화 △작가·음악가 등 문화인들의 프랑스어 사용 권장 등 총 30가지 정책으로 이뤄져 있다.


마크롱 대통령은 이날 프랑스어 정책기관인 한림원(아카데미프랑세즈)에서 “프랑스어는 자유의 언어”라며 “우리가 앞으로의 전략을 마련할 수 있다면 프랑스어는 아프리카는 물론 세계에서도 가장 많이 쓰이는 언어가 될 것”이라고 연설했다.

관련기사



마크롱 대통령의 프랑스어 진흥정책은 그가 전개하는 ‘강한 프랑스’ 전략의 하나로 보인다. 프랑스 정부가 다음달 공개할 징병제 부활 계획이 프랑스군의 국제적 위상을 올리기 위한 포석으로 해석되듯이 이번 정책도 프랑스어 사용 인구를 늘려 프랑스의 국제적 영향력을 높이려는 목적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마크롱 대통령은 지난 2016년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Brexit) 국민투표 이후 EU에서 영어에 대한 반감이 높아지고 있는 지금이 프랑스어의 국제 영향력을 확대할 적기라고 판단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은 분석했다. 2004년 이후 동유럽 국가들의 EU 가입으로 사용 언어가 다양해지면서 지금까지 EU 주요 회의에서는 국제공용어인 영어 사용 비중이 확대됐다. 하지만 영국의 EU 탈퇴 시한이 다가오면서 EU 집행위원회는 언론배포용 성명을 프랑스어·독일어 중심으로 작성하기로 하는 등 EU 내 ‘영어 배제’ 정서가 고조되고 있다. 마크롱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우리가 브렉시트를 논의하는 지금도 브뤼셀에서 영어의 영향력은 막강하다”며 “역설적인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다만 리베라시옹은 마크롱 대통령의 프랑스어 교육 투자가 아프리카 국가에 집중된 것은 결국 옛 식민지에 대한 개입을 확대하려는 시도로 해석할 수도 있다며 프랑스어 진흥정책을 ‘신식민주의적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