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다우 0.18% 하락 마감, 무역전쟁 우려 등으로 혼조세 보이다 하락세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미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회의 결과와 무역전쟁 우려 등으로 혼조세를 보이다 하락세를 보였다.

21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4.96포인트(0.18%) 내린 2만4682.31에 거래를 끝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5.01포인트(0.18%) 하락한 2711.9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9.02포인트(0.26%) 낮은 7345.29에 장을 각각 마쳤다.

지수는 이날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반락했다가 곧 반등하고 다시 반락하는 등 혼조 양상을 나타냈다.

시장은 FOMC 성명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기자회견, 페이스북 주가, 무역전쟁 우려 등을 주목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종별로는 유가 상승에 힘입어 에너지업종이 2.6% 강세를 보였고 소재와 산업이 각각 1%와 0.1% 오르고 나머지 업종은 일제히 하락했다. 필수 소비재가 1.3% 하락해 낙폭이 가장 컸으며, 부동산 0.9%, 통신 0.8%, 기술 0.6% 순서로 알려졌다.


이날 연준은 FOMC 회의 후 기준금리를 예상대로 1.50~1.75%로 0.25%포인트 올랐다.

관련기사



연준은 경기를 낙관하면서도 올해 기준금리 인상횟수는 올리지 않는 등 다양한 해석을 가능케 하는 정책 포석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연준은 올해 기준금리 인상횟수 전망을 3차례로 유지했지만, 내년은 이전보다 한 차례 많은 3차례로 높게 측정됐다.

연준은 또 올해 경제 성장률이 기존 예상치인 2.5%보다 높은 2.7%를 보이고, 내년에도 2.1%보다 높은 2.4%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다. 또 올해 실업률이 지난해 12월에 내놨던 3.9%보다 낮은 3.8%일 것으로 내다봤다.

연준은 하지만 물가 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올해와 내년 각각 1.9%와 2.0%인 종전 전망치를 유지한 것으로 알려졌따.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점진적인 금리 인상이 연준의 목표”라며 “물가 상승이 가속한다고 할만한 지표가 없다”고 밝혔다.

파월은 또 주식, 상업용 부동산을 포함한 일부 자산 가격이 역대 기준보다 높지만, 주택시장은 아니라며 이점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아울러 경기 침체 가능성이 크지 않으며 무역전쟁 우려가 당장 경기 전망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부연했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