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靑 “남북·북미 정상회담 전 북중 관계 개선, 긍정신호”

“외교전례 상 방중 인사 파악돼도 먼저 공개할 수 없어”

“미국도 이 상황 주시”

지난 26일 북한 최고위급 인사가 방중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북측 대표단이 묵는 중국 베이징 국빈관 조어대 앞에서 중국 공안들이 교통을 통제하고 있다. /연합뉴스지난 26일 북한 최고위급 인사가 방중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북측 대표단이 묵는 중국 베이징 국빈관 조어대 앞에서 중국 공안들이 교통을 통제하고 있다. /연합뉴스



청와대가 북한 최고위급 인사 방중설과 관련해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청와대의 한 고위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남북,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북중 간 관계개선이 이뤄지는 것은 긍정적인 신호라 본다”며 이 같이 말했다. 한반도 정세 변화를 위해서는 중국의 역할이 필요한 것도 사실이므로 북중 관계 개선을 나쁘게 볼 것은 아니라는 이야기다. 그는 “북측 움직임에 대해서는 이미 며칠 전에 이런 내용을 파악하고 있었고, 그와 관련해 예의주시했다”며 “실제 베이징에 어느 분이 가 있는지는 현재로서는 확인이 안 되고 있다”고 했다.


방중인사가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인지, 김여정 중앙위 제1부부장인지 등에 대해 중국에 문의를 해 둔 상황이냐는 질문에는 “구체적인 내용은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가 파악하더라도 먼저 공개할 수 없다”며 “양국간 외교적 전례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그는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이 열리는 것 자체가 평상시 상황을 초월한 건데, 한반도 주변을 둘러싼 여러 상황이 매우 긴박하게 진행되고 있어서 그런 부분에 대해서는 코멘트하는 게 바람직하지 않은 것 같다”고 밝혔다. 방중 북한 인사가 얼마 동안 중국에 머물지에 대해 그는 “모른다”고 했다. 그는 미국과 관련 정보를 주고받고 있다면서 “미국 역시 이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일각에서는 양제츠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이 당초 21일 방한하기로 한 것을 28일께로 연기한 것과 이번 사안이 연관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그러나 청와대의 한 고위관계자는 “직접 연관됐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양 국무위원 방한 연기에 대해 중국 양회 등 상황 때문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