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中 1~2위 조선사 합병 추진

한국 '빅3' 매출의 2배 달해

수주 회복세에 찬물 불가피

중국이 자국 내 1·2위 조선사의 합병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두 조선사 간 합병 규모는 한국 빅3 조선사 매출 합계의 2배로 최근 수년간의 수주절벽을 딛고 조금씩 회복하고 있는 국내 조선사에 초대형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3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은 중국선박중공(CSIC)과 중국선박공업(CSSC)간 합병을 예비 승인했다. 이들은 중국 정부가 1999년 7월 중국선박공업총공사 사업부를 분리해 설립한 대형 국유조선사로 중국 해군용 항공모함, 컨테이너선과 유조선, 액화천연가스(LNG)선 등 다양한 선박을 제조하고 있다.


두 조선사가 합병할 경우 연간 매출 규모는 총 5,080억위안(86조2,940억원)에 달한다. 이는 시가총액 기준 세계 1~3위 조선사인 현대중공업·대우조선해양·삼성중공업 등 한국 대형 조선사 3사의 매출 합계를 2배 이상 웃도는 수준이다.

관련기사



이 같은 중국 대형 조선사의 출현으로 한국 조선사들의 수주 부담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조선ㆍ해운 분석기관인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조선사들의 글로벌 조선 수주 시장 점유율은 27.3%로 5년 전인 2012년의 32.8%에 비해 5.5%포인트 줄어들었다. 반면 중국 조선사들의 시장 점유율은 같은 기간 동안 34.1%에서 41.3%로 7.2%포인트 증가했다. 중국 조선사들이 저가 수주로 한국 조선사들의 가격 경쟁력을 앞질렀기 때문이다. CSIC와 CSSC가 합병할 경우 중복되는 설계 기능과 인력을 줄이고, 일반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어 이 같은 중국 업체들의 저가 수주 공세는 더 거세질 공산이 크다. 한 대형 조선사 임원은 “합병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가 분명히 있을 것”이라며 “단기적으로 한국 조선사들에 위협이 될 것”이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한편 지난달 국내 조선사의 선박 수주량은 91만CGT(표준화물선 환산톤)으로 전 세계 선박 수주량(174만CGT)의 52.3%를 차지해 중국(26.9%)을 제치고 1위에 올라서는 등 지난 몇 년간 부진했던 수주 실적이 나아지고 있다.

/박민주·고병기 기자 parkmj@sedaily.com

박민주·고병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