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인천공항 T1 면세점 '빈 집' 될라

사업자들, 공사 조정안 거부

도미노 철수 가시화 분위기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임대료를 둘러싼 인천국제공항공사와 면세점 사업자들의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  30일 오후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면세점 구역에서 여행객들이 이동하고 있다./연합뉴스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임대료를 둘러싼 인천국제공항공사와 면세점 사업자들의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 30일 오후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면세점 구역에서 여행객들이 이동하고 있다./연합뉴스



인천공항공사와 제1 여객터미널 입점 면세 사업자들 간의 임대료 갈등이 장기화 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양측 간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어 T1 면세점의 도미노 철수가 가시화 되는 분위기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면세사업자들은 인천공항공사가 최근 제안한 2개의 조정안 가운데 어느 하나도 선택하지 않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신라와 중소중견 면세사업자들은 두 가지 안 모두에 반대하는 입장을 밝혔고 신세계는 다음주에 회신하겠다며 입장 표명을 보류했다. 앞서 인천공항공사는 제2 여객터미널 개항에 따라 제1 여객터미널 여객 수가 감소하는 것을 고려해 2가지의 임대료 조정안을 면세 사업자들에게 제시했다. 또 30일까지 하나를 택해 입장을 밝혀달라는 공문을 보냈다. 임대료 27.9% 일괄 인하안에 더해 30% 인하 뒤 추가로 매출 감소분만큼 주기적으로 정산하는 내용의 두 가지 안이다.

관련기사



하지만 대기업과 중소·중견 면세 사업자 모두 해당 조정안들에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임대료 일괄 27.9% 인하안의 경우 공사가 객단가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 때문이다. 매출액 기준 임대료 조정안에 대해서도 중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사드) 보복으로 매출 증가율이 1%대 머문 지난해를 기준으로 산정하는 것이 적절치 않다고 주장하고 있다. 중소중견 면세사업자들은 대기업과 영업료율이 같게 책정된 것이 납득할 수 없다는 분위기다.

면세업체들의 반발이 지속되자 인천공항공사는 부랴부랴 면세사업자들 모두와 개별 또는 공동 협상 테이블을 마련했지만 실제로 바뀐 것은 없는 셈이다. 결국 ‘면피용’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변수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