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FTA 서명 북미대화 후로"…트럼프, 한국에 경고

'북핵 일괄타결'서 발빼자 압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현지시간) 오하이오주 리치필드의 한 훈련시설에서 연설하고 있다. /리치필드=EPA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현지시간) 오하이오주 리치필드의 한 훈련시설에서 연설하고 있다. /리치필드=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현지시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북미대화의 ‘연계’를 시사하는 돌출발언을 내놓았다. 대북 협상 카드로 한국과의 FTA를 이용하겠다는 뜻으로 읽히지만, 북한 비핵화를 위한 대북 압박 전선에서 자칫 생길 수 있는 한미 간 균열을 막기 위해 한미 FTA를 지렛대로 삼고 북한에도 상황이 여의치 않을 경우 얼마든지 미국이 물러설 수 있다는 신호를 준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하이오주 대중연설에서 한미 FTA 개정협상 결과에 대해 “훌륭하다”고 자평하던 중 불쑥 이 같은 발언을 쏟아냈다. 그러면서 “왜 이러는지 아느냐. 이것이 매우 강력한 카드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는 모든 사람이 공정하게 대우받기를 원한다”고 밝히며 발언 배경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았다. 이 같은 돌출 발언은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만난 후 한반도 정세가 급변하는 가운데 미국이 주도권을 잃지 않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인 것으로도 해석된다.

관련기사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스스로 트위터에서 한미 FTA를 ‘위대한 합의’라고 밝힌 지 하루 만이자 남북 정상회담 일정이 발표된 지 몇 시간 만에 이 같은 발언이 나와 논란을 키우고 있다. 미 언론들은 한미 FTA와 대북협상을 연계하며 북한을 최대한 압박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해석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의 협상에서 한미 FTA를 지렛대로 삼겠다고 위협했다”고 전했다. AP통신도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정부가 바랐던 북미 핵 협상을 연기함으로써 미국이 한국과의 관계에서 더 유리한 ‘무역조건’을 얻어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박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