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2030년 부산세계박람회' 국가사업으로 추진한다

기재부 국제행사 최종 승인

국고 1조2,000억 지원 가능

2021년 유치신청 준비 돌입

2030 부산세계박람회가 국제 행사로 승인됐다. 서병수 부산시장이 2일 기자회견을 열고 기획재정부 국가행사심사위원회 심의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조원진기자2030 부산세계박람회가 국제 행사로 승인됐다. 서병수 부산시장이 2일 기자회견을 열고 기획재정부 국가행사심사위원회 심의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조원진기자



‘2030년 부산세계박람회’(등록엑스포)가 지방자치단체를 넘어선 국가사업으로 추진된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2일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30 부산세계박람회가 지난달 30일 기획재정부 국가행사심사위원회로부터 국제행사로 최종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서 시장은 이어 “국가사업으로 추진되기 때문에 국비를 지원 받아 세계박람회 부산 개최를 추진할 수 있게 됐을 뿐만 아니라 국가 차원의 다양한 지원도 받을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타당성 조사에서 세계박람회를 부산이 유치할 경우 관람객 수는 4,768만명으로 추정됐으며, 총사업비는 4조5,072억원으로 예상됐다. 부산시는 국제행사 국고지원 비율인 총사업비의 30% 이하인 국고 1조2,444억원을 포함하는 정부의 행·재정적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됐다.

2030년 부산세계박람회는 월드컵·올림픽과 더불어 세계 3대 메가 이벤트 중 하나로 생산유발 효과 49조원, 부가가치유발 20조원, 취업유발 54만명으로 추정되는 대규모 국제행사다.


부산시는 세계박람회 유치 준비에 많은 시간이 걸리는 만큼 하루빨리 국무회의를 열어 국가계획으로 확정하고 정부 추진체계를 구축해서 유치 준비에 착수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는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와 국무회의 상정 준비를 위한 협의를 위해 협의체 구성 제안을 준비 중이다.

관련기사



0315A33 부산세계박람회


부산시는 향후 정부의 추진상황에 맞춰 지난 2015년에 출범한 ‘2030부산등록엑스포 유치 범시민추진위원회’를 ‘2030부산세계박람회 지방유치위원회’로 확대·재정비해 부산의 유치역량을 재결집하고 범국민적 유치 열기 확산 등 정부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부산 개최 여부는 2021년 정부 차원에서 국제박람회기구(BIE)에 유치를 신청하면, 2022년 실사를 거쳐 2023년 BIE 총회에서 170개 회원국의 비밀투표로 최종 결정된다.

부산시는 2030년 5월1일부터 10월31일까지 6개월간 강서구 맥도 일원에서 350만㎡ 규모로 엑스포를 여는 방안을 정부에 제시한 바 있다.

서 시장은 “세계박람회를 통해 국민소득 5만 달러 시대로 도약할 것”이라며 “전쟁 종식과 비핵화를 통해 한반도에 평화가 정착된다면 2030부산세계박람회는 한반도 평화번영의 새 시대를 여는 진정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