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CJ ENM, 7월 베트남에 亞 최대 ‘V커머스 콘텐츠 제작 센터’ 오픈

CJ오쇼핑·CJ E&M 역량 활용해 ‘시너지’

동남아 타깃 V커머스 콘텐츠 제작·유통

“글로벌 NO.1 V커머스 사업자로 도약할 것”

오는 7월 오픈하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V커머스 콘텐츠 제작 센터 ‘DADA스튜디오 베트남’ 로고.  /사진제공=CJ오쇼핑오는 7월 오픈하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V커머스 콘텐츠 제작 센터 ‘DADA스튜디오 베트남’ 로고. /사진제공=CJ오쇼핑



오는 7월 출범하는 CJ오쇼핑·CJ E&M(130960) 합병 법인 CJ ENM이 아시아 최대 규모의 V커머스(비디오커머스) 콘텐츠 제작 센터 ‘DADA스튜디오 베트남’을 베트남 호치민 시에 연다고 24일 밝혔다. V커머스는 영상(Video)과 상업(Commerce)의 합성어로, 모바일 환경에 특화된 짧은 동영상으로 소비자들의 구매를 유도하는 상거래다. 그간 자동차·전자 등 국내 대기업이 해외에 생산 기지를 만든 적은 많지만, 국내 기업의 ’대형 콘텐츠 공장‘이 글로벌에 진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스튜디오 오픈은 양사의 콘텐츠와 커머스 인프라를 연계한 ‘디지털 콘텐츠 스튜디오 사업’을 본격화하기 위한 첫걸음이자, 글로벌 시장 타깃의 ‘글로벌 No.1 V커머스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포석이다. CJ오쇼핑의 국내 최대 V커머스 콘텐츠 제작사 ’DADA스튜디오‘의 콘텐츠 제작 역량과 성공 노하우, CJ E&M의 광범위한 한류 콘텐츠 제작자 네트워크 활용을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DADA스튜디오 베트남이 7월 초 본격 완공돼 내년 상반기에 정상 가동되면 매달 1,000여 편씩의 V커머스 콘텐츠를 생산·유통할 수 있게 된다. 한류 열기와 모바일 이용률 및 고학력의 젊은 인재가 많은 베트남에서 저비용 고효율의 콘텐츠를 대량 생산하고, 이를 동남아 및 세계 시장 전체를 타깃으로 유통시켜 매출을 올릴 계획이다.

CJ오쇼핑은 이에 대비해 이미 지난해 3월 ’DADA 스튜디오‘를 오픈하고, 월 200개의 상품 리뷰 동영상을 자체 제작하여 국내외에 유통하고 있다. 특히 베트남·태국·인도네시아 등 총 6개국에 자체 SNS 플랫폼을 오픈해 론칭 1년 만에 국내외 총 900만 명의 구독자를 확보하며 뉴미디어 업계에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CJ E&M도 디지털 콘텐츠 관련 제작 역량과 채널 영향력을 강화해왔다. CJ E&M이 운영 중인 아시아 최대 온라인 콘텐츠 제작자 네트워크 ‘다이아 티비(DIA TV)’가 대표적이다. 다이아 티비의 파트너 인플루언서 팀은 1,400여 개로 총 1억 6,000만 명의 국내외 구독자를 확보하고 있다. 또 Mnet의 디지털 채널 ‘M2’는 모바일에 최적화된 음악 콘텐츠로 구독자 710만 명을, OnStyle의 디지털 채널 ‘스튜디오 온스타일’은 1534 여성 타깃의 콘텐츠로 410만 명의 구독자를 확보하며 글로벌 채널로서의 입지를 구축해왔다.

관련기사



특히 이번 DADA스튜디오 베트남 오픈으로 세계 최대 수준의 동영상 제작 역량(기존 국내 200편·베트남 1,000편)을 갖추게 돼, 이를 통한 광고 수익만으로도 파격적인 퀀텀 점프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CJ오쇼핑이 15년간 쌓아온 글로벌 상품 유통 역량과 CJ E&M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동남아 시장에 대한 상품 유통도 직접 진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최근 라자다에 이어 동남아 2위 e커머스 업체로 꼽히는 ’Shopee‘의 말레이시아 몰에 ’DADA Beauty mall‘ 개설을 준비 중이며, CJ오쇼핑 및 올리브영 PB는 물론 국내 중소기업의 K뷰티 관련 상품을 판매할 계획이다

CJ오쇼핑 미래성장본부 김도한 상무는 “그동안 CJ오쇼핑과 CJ E&M은 DADA스튜디오, DIA TV 등을 통해 총 1억8,000만 여명의 국내외 구독자를 확보하는 등 각자의 영역에서 디지털 콘텐츠 역량을 키워왔다”며 “급성장 중인 글로벌 V커머스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합병 후에는 양사의 디지털 콘텐츠 및 채널 역량을 총동원해 시너지를 낼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DADA스튜디오 베트남을 통해 국내 우수 중소기업 상품의 글로벌 시장 판로를 개척하는 글로벌 NO.1 V커머스 사업자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이재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