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김성태 "북미회담 취소, 文정부 중재자 발상이 근본적 문제"

"文정부, 좁은 운식 폭과 제한적 역할 드러나"

"냉면에 취해 호들갑 떤 나이브한 인식도 문제"

김성태(가운데)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2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김성태(가운데)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2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25일 북미정상회담 전격 취소와 관련해 “문재인 정부의 중재자 발상 자체가 근본 문제이며 일정 부분 파산을 맞게 됐다”고 밝혔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미국과 북한 사이에서 문재인 정부의 운신 폭이 얼마나 좁고 역할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지 여실히 드러났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문재인 대통령은 북핵 문제에 있어 국제사회에서의 중재자가 아니라 당사자임을 정확히 깨닫길 바란다”며 “옥류관 냉면에 취해 물고기 다 잡은 양 호들갑을 떨었던 나이브한 현실 인식도 지적한다”고 비판했다. 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노벨평화상까지 들먹이며 구름 위를 걷던 어설픈 중재외교를 비판하지 않을 수 없다”고 꼬집었다.

관련기사



그러면서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은 이렇게 엄중한 상황이 만들어졌음에도 북미 정상회담이 99% 이뤄진다고 낙관한 것은 오로지 우리 국민에게 평화가 왔다고 선전만 했다”며 “집권당이 더불어민주당과 청와대 안보 라인의 모든 사람이 들떠있었다”고 지적했다.

김 원내대표는 또 “세계사적으로 기록될 만한 역사적인 만남을 놓고 일희일비할 게 아니라 신중한 상황관리에 치중했어야 하지만 한미정상회담 직후 이같은 상황이 초래돼 당혹감을 감추지 않을 수 없다”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요구한다. 완전한 비핵화만이 미국도 살고 북한 주민도 사는 길이니 마음을 바꾸고 완전한 핵 폐기 입장으로 대화의 장으로 나오길 바란다”고 말했다.

전날 대통령 개헌안 본회의 상정과 관련해 “청와대와 민주당은 개헌안 발의 과정에서도 독선적으로 밀어붙이더니 마무리도 독단과 아집으로 몽니를 부렸다”며 “문 대통령은 국민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류호·박우인기자 rho@sedaily.com

류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