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女 국가공무원 50% 돌파...관리직 불균형은 과제"

김판석 인사혁신처장 기자간담

남북관계 개선 대비 교육 마련

능력 따른 승진제 시행의지도

김판석 인사혁신처장 /연합뉴스김판석 인사혁신처장 /연합뉴스



국가공무원 중 여성 공무원의 비율이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처음으로 50%를 초과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김판석(사진) 인사혁신처장은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지난해 말 기준 통계를 정리한 ‘2018년 인사혁신통계연보’가 이달 말 공개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 2017년 발표된 연보에서는 국가공무원 65만149명 중 여성 비율은 49.8%(32만3,575명)였다. 다만 김 처장은 “여성 관리자 비율이나 업무영역별 불균형이 있는 점 등은 앞으로 풀어나가야 할 과제”라고 강조했다.


최근 급물살을 타고 있는 한반도 정세에 따른 인사처 차원의 준비방안도 공개됐다. 김 처장은 “지난달 만난 독일대사가 ‘통일이 도둑처럼 올 수 있다’고 말했다”고 고민의 계기를 소개한 뒤 “경제부처와 비(非)경제부처로 나눠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정책 준비 차원에서 교육과정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인사처는 이달 말에서 다음달 40여명의 주무과장급 이상 공무원을 대상으로 독일 베를린자유대에 ‘통일리더과정’을 마련해 교육연수를 실시한다. 여기에는 전 동독 총리와 전 독일 대통령 등이 강사로 참여한다.

인사처는 북한이 ‘정상국가’가 될 경우 국가공무원법을 마련할 가능성에도 대비하고 있다. 김 처장은 “2007년 아시아개발은행(ADB) 요청으로 베트남 내무부를 도운 적이 있는데 베트남도 북한처럼 당 중심이었다”면서 “북한도 언젠가 당 중심이 아닌 정부 중심으로 돌아가려면 공무원법이 필요하지 않을까 얘기했더니 직원들이 비교행정연구회를 만들어 다양한 나라들의 인사제도와 공무원법을 살펴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처장은 능력 있는 공무원을 빠르게 승진 임용하는 ‘속진임용제’ 시행에 대한 의지도 드러냈다. 김 처장은 “5급으로 입직해 고위공무원이 되는 비율이 75.1%인 반면 9급과 7급은 각각 1.6%, 4.6%만이 고위공무원이 된다”면서 “역량평가에 따른 특별승진 등 공정하고 수용 가능한 방안들을 적극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사처는 부처들의 의견을 수렴한 뒤 올해 하반기에 모두가 수용할 수 있는 승진 임용 방식을 발표하고 내년 상반기에 이를 시범 시행할 계획이다.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