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김대중·김영삼·김종필' 3김(金) 시대가 이렇게 끝났다

사진=연합뉴스사진=연합뉴스



김종필 전 국무총리가 23일 오전 별세했다. 향년 92세.

김대중, 김영삼, 김종필이 이끈 ‘3김(金) 시대’는 이로써 막을 내렸다.


김 전 총리 측 관계자는 “김 전 총리가 오늘 오전 8시 15분경 별세했다”고 전했다.

김 전 총리는 이날 오전 중구 신당동 자택에서 순천향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이미 사망한 상태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사인은 노환이다.

1926년 충남 부여에서 태어난 김 전 총리는 공주중·고등학교와 서울대 사범대,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했다.

지난 1963년 공화당 창당을 주도하고 그해 치러진 6대 총선에서 당선된 뒤 7·8·9·10·13·14·15·16대까지 9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1961년 처삼촌인 박정희 전 대통령의 5·16 쿠데타에 가담하면서 정치사에 본격적으로 등장했다. 이 해 중앙정보부를 창설해 초대부장에 취임한 것을 시작으로 영원한 ‘2인자의 길’을 걸었다.

관련기사



공화당 창당과정에서 증권파동을 비롯한 이른바 ‘4대 의혹사건’에 휘말리면서 63년 2월 ‘자의반 타의반’ 첫 외유를 떠났고, 한일 국교정상화 회담의 핵심쟁점이던 대일 청구권 문제와 관련된 ‘김종필·오히라 메모’ 파동으로 1964년 2차 외유길에 오르기도 했다.

1989년 1월년 서울 마포가든호텔에서 만난 3김. 왼쪽부터 당시 김영삼 민주당 총재, 김대중 평민당 총재, 김종필 공화당 총재 (사진=연합뉴스)1989년 1월년 서울 마포가든호텔에서 만난 3김. 왼쪽부터 당시 김영삼 민주당 총재, 김대중 평민당 총재, 김종필 공화당 총재 (사진=연합뉴스)


1971년부터 1975년까지 4년 6개월 간 국무총리를 지내며 박정희 정권의 최측근으로 정부에 참여했으나, 1980년 신군부가 등장하면서 ‘권력형 부정축재자’로 몰려 영어의 몸이 되기도 했다.

1984년 미국으로 건너갔다 1986년 귀국한 뒤 신민주공화당을 창당하고 1987년 13대 대선에 출마해다가 낙선하기도 했다. 이후 1988년 치러진 13대 총선에서 충청권을 기반으로 35석의 국회의원을 확보하는 데 성공하면서 정치 일선에 복귀했다.

1992년 대선에서는 3당 합당과 함께 김영삼(YS) 당시 대선 후보를 지원했으며, 1997년 대선에선 자신이 창당한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다시 대권에 도전했으나 선거 막바지 ‘DJP(김대중·김종필) 연합’을 성사시켜 김대중(DJ) 당시 대선 후보를 지지했다.

내각제 파동과 16대 총선 과정에서 쌓인 공동정권 수장 사이의 앙금은 결국 2001년 9월 임동원 당시 통일부 장관 해임안 가결 및 공조파기로 이어졌다.

김 전 총리는 2004년 17대 총선을 통해 재기를 시도했으나, 자민련의 특표율이 비례대표 당선에 미치지 못하면서 10선 도전에 실패했고 4명의 의원만 배출한 뒤 정계은퇴를 선언했다.

한편 유족으로는 아들 진씨, 딸 복리씨 1남1녀가 있다. 빈소는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질 예정이다.

김진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