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호국영령 추모 엄숙한 자리인데..." 지자체 6·25행사 만세삼창 논란

경남도·부산·대구시 "관례대로"

참석자들 "의구심 들고 뭔가 불편"

지난 25일 청주시 예술의전당에서 6·25전쟁 68주년 기념식 참석자들이 만세삼창을 외치고 있다.  /청주=연합뉴스지난 25일 청주시 예술의전당에서 6·25전쟁 68주년 기념식 참석자들이 만세삼창을 외치고 있다. /청주=연합뉴스



지방자치단체들이 6·25전쟁 기념식에서 진행한 ‘만세삼창’이 논란이다. 6·25전쟁의 아픈 역사를 되새기고 참전 용사들의 숭고한 희생을 추모하기 위해 진행한 이런 행사에서 만세를 부르는 것이 뭔가 불편하다고 토로하는 참석자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관례로 굳어진 데 대해 지자체들도 특별한 배경설명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

26일 지자체에 따르면 경남도는 지난 25일 신관 대강당에서 6.25 참전용사와 유가족, 도내 기관 단체장, 공무원 등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6·25전쟁 68주년 행사를 개최했다. 도는 이날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에 대한 묵념, 기념사, 참전용사 9명 표창 수여 순으로 진행된 행사에서 마지막으로 ‘대한민국’ 만세삼창을 했다. 이날 행사에서 만세삼창 선창을 한 관계자는 “식순에 의해 내가 지명돼 (만세삼창 선창을) 했지만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수많은 참전용사들이 목숨을 잃은 참혹한 전쟁을 교훈 삼는 날인데 ‘만세를 불러야 하는가’라는 의구심이 들더라”고 털어놨다.

또 다른 참석자도 “동족상잔의 비극적인 아픈 역사 앞의 호국영령들을 추모하는 자리에서 만세를 하는 것은 아닌 것 같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남도 관계자는 “해마다, 식순에 포함돼있어 올해도 했다”며 “앞으로 계획에서는 검토를 한번 해봐야겠다”고 밝혔다.


부산시와 대구시 등 광역시와 충북 청주 등 시군도 각각 열린 6·25 전쟁기념식 행사에서 참전유공자 및 유가족, 일반시민 등이 모인 가운데 만세삼창을 하는 등 전국 대부분 지자체들이 이벤트성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반면 같은 날 중앙정부가 서울 송파구 잠실 실내체육관에서 진행한 6.25전쟁 68주년 중앙행사에서는 ‘만세삼창’이 나오지 않았다.

국가보훈처 관계자는 “일반 행사 때 진행되는 만세삼창에 대한 별도의 규정이나 지침은 없다”면서도 “중앙정부 행사의 경우는 만세삼창을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창원=황상욱기자 sook@sedaily.com

황상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