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취업자가 10만6,000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청와대가 직접 나서 ‘6월부터는 고용 상황이 나아질 것’이라고 해명한 것과 반대로 실업자는 5개월째 100만명을 웃돌면서 고용 충격을 벗어나지 못했다. 특히 우리 경제의 뿌리인 제조업은 취업자가 12만명 넘게 줄어 1년 반 만에 최악의 성적표를 받았다.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712만6,000명으로 1년 전보다 10만6,000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취업자 수가 마이너스(-1만명)로 돌아섰던 2010년 1월 이후 8년여 만에 최악의 부진이 계속되고 있다. 취업자 증가폭이 5개월째 20만명을 밑돈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이다.
올해 초 정부가 목표한 취업자 증가폭은 30만명이다. 하지만 올 들어 취업자 증가폭은 지난 2월 정부 목표치의 3분의1 수준인 10만4,000명으로 추락한 이후 줄곧 부진을 벗지 못하고 있다. 2~4월 연속 10만명대에 머문 취업자 증가 폭은 지난 5월에는 7만명대로 내려앉았다.
지난달에는 기저효과 때문에라도 취업자 증가폭이 개선된 모습을 보일 것으로 기대됐지만 결과는 여전히 어둡다. 지난해 2~4월 36명~46만명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던 취업자 증가폭은 지난해 6월 30만2,000명으로 내려앉았다. 반대로 올해 6월 취업자가 지난 2~4월과 비슷한 수준으로 늘어나더라도 지난해와 비교하면 더 많아 보이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얘기다. 반장식 청와대 일자리수석은 지난 5월 이런 상황과 더불어 “추가경정예산 집행과 은행·공기업의 채용 본격화, 노동시간 단축 효과 등이 고용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라며 ‘6월 고용회복론’을 주장하기도 했다. 하지만 실제 성적표는 이런 기대와 달랐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취업자가 12만6,000명(-2.7%) 줄어 가장 큰 감소폭을 기록했다. 제조업 취업자가 10만명 넘게 준 것은 조선·해운 구조조정 여파가 계속되던 지난해 1월(-17만명) 이후 처음이다. 다음으로는 교육서비스업(10만7,000명, -5.5%),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및임대서비스업(4만6,000명, -3.3%) 순이었다. 반대로 가장 많이 늘어난 것은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16만2,000명, 8.3%)과 공공행정·국방·사회보장행정(9만4,000명, 8.8%)이었다. 공공 고용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산업이다.
통계청은 계속된 ‘고용 쇼크’의 원인을 인구 구조 변화에서 찾았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2017년부터 감소가 시작돼 2020년 24만명, 2024년 34만명 급감할 전망”이라며 “고용상황에 특별한 변동이 없으면 생산가능인구가 급감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취업자도 인구효과 측면에서 감소가 예상되고 그 폭도 확대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용률은 67.0%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실업자는 103만4,000명으로 1년 전보다 2만6,000명 줄었다. 실업자는 올해 들어 연속 100만명을 웃돌고 있다.
실업률은 3.7%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청년(15∼29세) 실업률은 9.0%로 1년 전보다 1.4%포인트 하락했다.